신세계아이앤씨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의 차세대 개발 플랫폼 ‘스파로스 데브엑스’를 자사 정보기술(IT) 서비스 전 영역에 도입하기로 하면서, 국내 IT업계에 자동화 기반의 업무 혁신 바람이 불고 있다.
15일 신세계아이앤씨는 ‘스파로스 데브엑스’를 통해 코딩 자동화를 넘어 시스템 설계, 분석, 개발, 테스트, 품질 점검, 운영 등 전체 개발 생애주기를 AI 에이전트가 지원하는 구조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하나의 플랫폼에 여러 기능의 AI 도우미가 탑재되고, 각각의 업무 단계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작동해 업무 효율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생성형 AI는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로, 최근 산업계 전반에서 기존의 업무 방식에 큰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선 반복적인 코딩과 디버깅 작업을 자동화해 생산성을 높이고, 인적 자원은 보다 창의적이거나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신세계아이앤씨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AI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며 조직 전체의 개발 역량을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번 플랫폼 도입과 더불어 연내에 ‘AI 허브’라는 별도의 사내 플랫폼도 공개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멀티 LLM(거대 언어 모델) 기반으로, 공통 업무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AI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신세계아이앤씨는 이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개발 효율성을 30%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양윤지 대표이사는 AI 기술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서 개발자의 역할까지 새롭게 정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늘날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존재가 아니라, AI 기술을 조정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AI 리더’로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기술 도입은 단순한 생산성 향상을 넘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가속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생성형 AI와 개발 플랫폼의 결합이 얼마나 일상적인 업무 환경에 녹아들 수 있을지에 따라 전 산업의 업무 방식이 근본적으로 재편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