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강세장과 약세장, 어떻게 대처할까?”…크립토닷컴, 초보 투자자 위한 생존 전략 제시

프로필
이도현 기자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4

크립토닷컴은 강세장·약세장의 특징과 투자 전략을 소개하며 초보자들의 수익률 향상을 위한 핵심 가이드를 제시했다. 일관된 원칙과 시장 사이클 이해가 장기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강세장과 약세장, 어떻게 대처할까?”…크립토닷컴, 초보 투자자 위한 생존 전략 제시 / 크립토닷컴(Crypto.com)

“강세장과 약세장, 어떻게 대처할까?”…크립토닷컴, 초보 투자자 위한 생존 전략 제시 / 크립토닷컴(Crypto.com)

글로벌 디지털 자산 플랫폼 크립토닷컴(Crypto.com)이 최근 발간한 초보자용 리서치에 따르면, 강세장과 약세장의 특징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암호화폐 투자 수익률 향상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특히 투자 경험이 적은 일반 사용자들도 시장 상황을 이해하고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핵심 지표와 시장 심리의 작동 메커니즘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강세장이란 자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거나 앞으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는 시장을 뜻한다. 이는 비관보다는 낙관, 회피보다는 진입이 장려되는 환경으로, 고용률 증가, 국내총생산(GDP) 성장, 낮은 금리와 같은 거시경제 지표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때 발생한다. 크립토닷컴 리서치는 시장의 낙관론과 투자자들의 자신감, 그리고 암호화폐에 대한 미디어 관심 또한 강세장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전했다.

한편, 약세장은 자산 가격이 최근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한 상태로 정의된다. 강세장이 황소가 뿔로 위로 들이받는 투자자심리를 상징한다면, 약세장은 곰이 발로 가격을 내리치는 식의 부정적 인식을 묘사한다. 이번 크립토닷컴의 분석에 따르면 약세장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고용 감소, 기업 실적 악화, 급격한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 등이 꼽힌다. 특히 위기 상황이나 경기 침체 국면에서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위축되며 자산 가격이 계속 하락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실제 사례로 비트코인(BTC)은 2017년 강세장에서 900달러에서 약 19,000달러까지 치솟았다가, 2018년 중순부터 본격적인 약세장에 진입하며 약 3,200달러까지 하락한 바 있다. 이더리움(ETH)도 당시 1,300달러대 정점에서 100달러 선까지 추락하며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강세장에서는 빠른 진입과 장기보유 전략이 유효하지만, 약세장에서는 상황에 따라 단기적 손실 제한 전략이 요구된다.

시장이 항상 강세나 약세만 반복하는 것은 아니다. 수요와 공급이 균형점을 이루는 중립 국면은 명확한 방향성이 없고, 이런 조정 장세에서 대다수 투자자는 관망세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신호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인다.

크립토닷컴은 보고서 말미에서 시장은 결국 반복되는 사이클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사이클을 명확히 이해하고 장기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개인 투자자에게 결정적인 경쟁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달러 비용 평균화(DCA) 전략, 위험 분산 투자, 전문가 상담 등도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실용적 방법으로 제안됐다.

투자 성패의 기준이 되는 건 시장 타이밍을 완벽히 맞추는 능력이 아니라,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도 일관된 원칙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내려가는 역량이라는 것이 리서치의 핵심 메시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7.02 14:42:49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N_Ryawa

2025.07.02 14:08:44

탁월한 분석이에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07.02 13:52:0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