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용 인공지능 검색엔진 시장에서 급속한 주목을 받고 있는 유닷컴(You.com)이 새롭게 선보인 'ARI 엔터프라이즈(Advanced Research & Insights Enterprise)' 플랫폼으로 오픈AI(OpenAI)를 제치고 정밀 연구 분야에서의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유닷컴은 자사 플랫폼이 오픈AI의 경쟁 제품보다 76% 높은 우위를 보였다고 밝혔으며, 하버드대·구글·메타가 공동 개발한 객관적 벤치마크 기준으로도 업계 최고 수준의 정확도를 기록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리처드 소처(Richard Socher) 유닷컴 CEO는 "사용자들은 우리가 찾은 정보의 깊이가 기존 검색 도구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피드백을 준다"며 "ARI 엔터프라이즈는 그 깊이와 정확성을 기반으로 탁월한 효용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 플랫폼은 하버드, 메타, 구글이 개발한 FRAMES 테스트에서 80% 정확도를 기록하며, 주요 경쟁사들보다 우위를 입증했다. 이는 단순한 데이터 검색을 넘어 복합적 추론과 사실 검증까지 포괄할 수 있는 역량 덕분이다.
현재 AI 기반 정밀정보 검색 시장은 구글(GOOGL), 오픈AI, 퍼플렉서티, 앤스로픽 등 주요 기술기업 간 경쟁이 격화되고 있으며, 유닷컴은 이 중에서도 특히 기업 전용 사용 사례에 집중하고 있다. 금융 분석가와 전략 컨설턴트처럼 높은 수준의 정확성과 깊이를 요구하는 직군을 주요 대상 고객층으로 삼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유닷컴은 기존 검색 엔진들이 일반 사용에 초점을 맞추는 동안 틈새시장인 엔터프라이즈 수요에 집중하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ARI 엔터프라이즈의 또 다른 강점은 400개 이상의 출처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내부 기업 데이터까지 연동 가능하다는 것이다. 쉐어포인트, 원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 커스텀 데이터 소스 등 과거에는 AI 모델이 접근하지 못했던 기업 전용 저장소와도 연계해 수십 테라바이트 이상의 정보 검색이 가능해졌다. 실제 데모에서 이 플랫폼은 eVTOL 물류 시장 진입 전략 같은 복잡한 질문에 대해 수백 개 출처 기반의 분석 리포트를 수 분 안에 생성해냈다.
프로덕트 성능만큼이나 주목받은 부분은 ARI가 오픈AI의 '딥 리서치' 제품을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DeepConsult' 테스트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는 점이다. 102개의 특정 비즈니스 질문에 대해 총 612건의 비교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ARI가 76%의 비율로 우위를 점했고 오픈AI는 14%에 그쳤다. 유닷컴은 해당 테스트 코드와 데이터셋을 공개해 누구나 검증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미 벤처캐피털, 커뮤니케이션 컨설팅, 공공 연구기관 등 다양한 초기 고객들이 ARI 엔터프라이즈를 도입하고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보건원(NIH)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겸상적혈구 빈혈 치료의 비용 효율성을 분석한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ARI는 관련 데이터 226건을 수집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까지 실행해 복잡한 정책 제안을 신속하게 도출했다.
무분별한 자동화가 아니라 인간 중심의 협업형 접근 방식도 ARI의 차별화 요소다. 시스템은 복잡한 질의에 대해 사전 계획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그 흐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이는 초기 질의의 모호성이 전체 결과물에 영향을 끼치는 기존 AI 도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전략이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AI의 발전이 연구자, 분석가의 일자리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지만, 소처 CEO는 '대체'가 아닌 '보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터넷이 사서직을 없앤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역할을 창출했던 것처럼, ARI는 리서치 분야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 리포트를 수작업으로 작성할 경우 수 주가 걸리고 많게는 수천만 원의 예산이 필요한 반면, ARI는 몇 분 내로 비슷한 수준의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어 기업 입장에서 혁신적이라는 평가다.
유닷컴은 2020년 설립 이래 9,900만 달러(약 1,425억 원)의 자금을 조달했으며, 세일즈포스벤처스, 엔비디아(NVDA), 조지안 벤처스 등 유수 벤처캐피털이 투자에 참여했다. 검색 기반 스타트업으로 출발한 이 기업은 이제 ‘생산성 엔진’으로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며 연초 대비 500%의 수익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기업 맞춤형 검색 AI를 둘러싼 '딥 리서치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유닷컴이 구축한 데이터 폭과 인간 협업 기능의 조합은 정보 과부하 시대에 실질적 해결책으로 부상하고 있다. 경쟁은 AI가 얼마나 많은 정보를 찾느냐가 아니라, 그 정보를 얼마나 의미 있는 통찰로 바꿔낼 수 있느냐로 진화하고 있다. 이 전환점을 선도하는 기술이 기업들의 전략 수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