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P2E(Play to Earn) 게임을 둘러싼 대선 후보들의 입장 차이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신중한 태도를 보인 반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규제 완화에 더 적극적이다.
이준석 후보는 '블록체인 기술과 P2E 게임이 단순한 투기 수단으로만 여겨져 현재의 규제 시스템이 콘텐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가로막고 있다'며 현 제도에 날을 세웠다. 그는 특히 '사행성이 아니라 창작 활동과 생태계 기여에 기반한 보상 모델'이라면 합법화 방향으로 규제를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암호화폐를 활용한 게임 산업의 미래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다소 소극적인 입장이다. 민주당 산하 게임정책특별위원회는 최근 간담회에서 P2E 게임 합법화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황희두 위원장과 조승래 부위원장은 '게임 과몰입 문제처럼, P2E 역시 더 많은 과학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드러내 사실상 반대 의견이다.
P2E 게임은 사용자가 플레이를 통해 암호화폐 보상을 얻고 이를 환전할 수 있어 '게임으로 돈 버는 개념'으로 널리 알려졌다. 하지만 현행 게임산업법에서는 이런 방식의 경품 지급과 환전이 금지되어 있어 국내에서 합법적인 서비스는 어렵다.
이처럼 암호화폐와 연계된 신산업에 대한 각 후보의 입장은 젊은 유권자들과 블록체인 스타트업 업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특히 이준석 후보는 웹보드 게임 결제한도 완화, 유연근무제 확대 등 게임·IT 산업 전반에 걸친 규제 완화를 공약으로 내세우며 새로운 산업 환경을 강조하고 있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 기반 비즈니스는 국내외에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사행성 논란과 소비자 보호 문제로 인해 여전히 사회적 논의가 분분하다. 이번 대선을 통해 이 분야에 대한 정책 방향이 어떻게 좌우될지 주목할 만하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