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업계를 노리는 해커의 위협이 다시금 현실로 드러났다. 최근 유니스왑 V4 기반으로 운영되는 디파이(DeFi) 플랫폼 '버니(Bunni)'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돼 약 240만 달러(약 33억 3,600만 원) 상당의 자산이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사건은 시장 상승세 속에서도 사이버 공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사례로 주목된다.
블록체인 보안 기업 펙쉴드(PeckShield)에 따르면 해커들은 버니 DEX의 소프트웨어 결함을 악용해 다수 자산을 탈취했다. 탈취된 자산의 정확한 종류나 공격자의 정체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지만, 버니 측은 공식 X(구 트위터) 채널을 통해 “보안 침해를 감지해 대응 중이며, 전 네트워크의 스마트컨트랙트 기능을 일시 중단했다”고 밝혔다. 현재 조사팀이 사건의 전말을 파악 중이며, 사용자들에게는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기다려 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버니는 유니스왑 V4 프로토콜 위에 구축된 유동성 전략 플랫폼으로 스마트컨트랙트를 앞세운 고유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유니스왑 V4는 지난 2월 새롭게 발표되며 가스 효율성을 강조했지만, 보안 강화 조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번 공격은 해당 생태계의 취약점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다.
이번 해킹 사건은 단순한 기술 결함이 아닌, 업계 전반에 걸친 보안 경각심의 부재를 드러낸다. 해커들은 시장이 활황이든 침체든 상관없이 끊임없이 공격 기회를 노리고 있으며, 특히 공격 대상이 되는 플랫폼들의 취약점은 곧 사용자 자산의 위험을 의미한다. 사용자와 플랫폼 모두 보안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점검이 필수적이다.
유니스왑 V4 생태계가 성장을 지속함에 따라, 이번 사건이 미칠 여파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디파이 이용자들은 높은 수익을 추구함과 동시에 보안성 검증에 대한 책임 의식 또한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U.Today는 향후 후속 보도가 나오는 대로 해당 사건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