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美 이코노미스트 10명 중 9명 '연준, 기준금리 더 올릴 것' 外

작성자 이미지
하이레 기자
22
1

[업비트→바이낸스, 24시간 1313만 HIFI 이체]

온체인 데이터 추적 플랫폼 스코프스캔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지난 24시간 업비트 월렛에서 6개 바이낸스 주소로 1313만 HIFI가 이체됐다. 이 기간 HIFI 가격은 약 30% 하락했다. 현재 업비트 월렛에는 여전히 전체 유통량의 70%인 6500만 HIFI가 보관돼 있다"고 전했다.

[FT "美 이코노미스트 10명 중 9명 '연준, 기준금리 더 올릴 것'"]

이데일리에 따르면 파이낸셜타임스(FT)가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번 ‘긴축 사이클’에서 연준이 어디까지 금리를 올릴 것인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47.5%가 5.5~5.75%를 꼽았다"고 전했다. 현행 기준금리(5.25~5.5%)와 비교하면 연준이 최소 한 번은 금리를 더 올릴 것이란 의미다. 다만 시장에선 연준이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선 일단 금리를 동결한 후 추가 긴축 가능성을 시사하는 ‘매파적 동결’을 결정할 가능성을 크게 본다. 18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CME 트레이더들은 이번 FOMC에서 연준이 현행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을 99%로 보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미국 시카고대 부스 경영대학원의 켄트 A 클라크 글로벌 마켓 센터와 FT가 공동으로 이코노미스트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분석 "고래들, 전날부터 $1.5억 ETH 콜옵션 매수...장기 강세 기대"]

암호화폐 옵션 거래 플랫폼 그릭스라이브가 50분 전 X(구 트위터)를 통해 "지난 1시간 4만 ETH 이상의 콜옵션이 거래됐다. 대부분 2023년 12월 29일 만기 콜옵션(행사가 2200달러) 매수였다. 지난밤에는 5만 ETH 상당 2023년 10월 27일 만기 콜옵션(행사가 2000달러) 매수가 발생했었다. 한 마디로 고래들은 1.5억달러 상당 ETH 콜옵션을 매수했다. 이는 장기 강세를 기대한 움직임"이라고 전했다.

[앱토스 디파이 '탈라' X 계정 해킹 추정]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포사이트가 앱토스(APT)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탈라(Thala)의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이 해킹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현재 탈라 계정에는 THL 에어드랍 링크가 게시돼 있는 상태다.

[WSJ "스카이브릿지캐피털, SVB VC 계열사 입찰 참여"]

지난 3월 파산한 실리콘밸리은행(SVB)의 VC 계열사 SVB캐피털 매각 입찰에 미국 유명 헤지펀드 스카이브릿지캐피털이 참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2.5억~5억달러에 매각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SVB 캐피털은 지난해 12월 기준 95억달러를 보유 중이며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에도 투자했다. 스카이브릿지캐피털은 약 18억달러를 운용하고 있으며 이중 암호화폐 투자액은 5.8억달러 상당이다. 매각 결정은 수 주 내 나올 전망이다.

[메사리 CEO "대규모 암호화폐 해킹, 北 아닌 中 소행일 수도"]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 메사리의 라이언 셀키스(Ryan Selkis) 최고경영자(CEO)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야간에 전력을 사용하는 것도 힘들어하는 북한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해킹을 저지른다는 것은 다소 신빙성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오히려 암호화폐를 추방하고 싶어하는 국가가 벌인 공작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부연했다. 그는 해당 포스팅에서 중국과 북한, 그리고 한국의 야간 사진을 함께 첨부했다.

[밀크, 인니 게임사 아가테와 MOU]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가 인도네시아 최대 게임사 아가테와 웹3 생태계 분야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CISION이 전했다. 밀크파트너스는 아가테 게임 솔루션을 활용, 인도네시아에서 웹3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업비트, 9/25 CELO 입출금 중단...하드포크 지원]

업비트가 셀로(CELO)의 하드포크로 인해 9월 25일 18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쿼크체인, NFT 플랫폼 BSC 스테이션과 파트너십]

샤딩 기술 기반 퍼블릭체인 프로젝트 쿼크체인(QKC)이 블로그를 통해 로드맵을 공개하고 "첫번째 생태계 파트너로 NFT 플랫폼 BSC 스테이션(BSCS)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쿼크체인은 "그간 연구 및 개발에 중점을 두면서 마케팅 활동을 최소화 해왔다. 하지만 이제 우리의 새로운 방향과 계획이 명확해지면서 커뮤니티뿐만 아니라 더 큰 시장에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홍콩 의원 "JPEX 사건 피해액 1억 홍콩달러 넘을 듯"]

홍콩 오리엔탈데일리뉴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JPEX의 사기 의혹 사건과 관련해 홍콩 입법회 우제좡 의원이 오늘 기자회견을 열고, JPEX에서 출금이 되지 않아 발생한 피해액이 1억 홍콩달러(169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JPEX는 한때 모든 거래에 약 8000 홍콩달러 수수료를 부과했는데, 이에 대해 우 의원은 "규제 당국이 거래 수수료 한도를 명시하지 않았다. 정부는 이 부분에 대한 규제 검토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투자자 교육, 정보 공개 방면에서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번 사건이 홍콩 가상자산 업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1% / 숏 49.9% 1. 바이낸스: 롱 50.2% / 숏 49.8% 2. OKX: 롱 49.1% / 숏 50.9% 3. dYdX: 롱 50.7%/ 숏 49.3%

[스크롤 공동 설립자 "곧 프로토콜 출시"]

이더리움(ETH) zkEVM 확장성 프로젝트 스크롤(Scroll) 공동 설립자 예 장(Ye Zhang)이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몇 가지 최종 테스트를 거친 뒤 스크롤을 공식 출시할 예정이며, 출시와 동시에 유니스왑(UNI), 아베(AAVE) 등 주요 프로젝트를 배포할 준비도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스크롤은 리네아 등 타 프로젝트와 달리 모든 ETH 명령코드(opcodes)와 트랜잭션 구성 요소에 대한 완전한 증명을 제공한다. 초기에는 시퀀서 등 일부 중앙화 요소가 포함되지만, 로드맵이 진행되면서 더욱 탈중앙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프레임워크벤처스 창업자 "토큰 분배, 판매세 도입이 락업보다 효과적"]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프레임워크벤처스(Framework Ventures)의 공동 설립자 밴스 스펜서(Vance Spencer)가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토큰의 분배(distribution) 과정에 판매세를 도입하는 것이 락업 메커니즘보다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그는 "예를 들어 토크노믹스에서 설계된 대로 물량을 지급받은 투자자가 첫 해 토큰을 판매할 시 90%의 판매세를 부과하고, 매년 30%씩 과세율을 낮춰주는 방안이 있다. 거둬들인 '세금'은 프로젝트의 트레저리로 귀속된다. 지금은 판매세와 락업 중 어떤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를 판단할 실험을 시작할 때"라고 설명했다.

[9개 고래 주소, 24시간 동안 바이낸스에 $788만 상당 TRB 입금]

스팟온체인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9개 고래 주소가 총 231,648 TRB(788만 달러 상당)를 바이낸스에 입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팟온체인은 "입금 이후 TRB 가격은 총 35% 하락했고, 해당 주소 가운데 6개는 손절매를 진행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아비트럼 커뮤니티, 5000만 ARB 생태계 보조금 조성]

아비트럼(ARB) 커뮤니티가 5 ,000만 ARB(4,050만 달러 상당) 상당 단기 생태계 성장 보조금을 조성하도록 하는 제안을 통과시켰다. 보조금 제안은 지난 11일부터 투표를 시작했으며, 5,000만 ARB 규모로 조성하자는 데 65.7%가 동의했다. 커뮤니티는 오는 9월 30일부터 10월 28일까지 두 차례에 걸친 투표를 통해 보조금 지급 프로젝트를 선정할 예정이며, 보조금은 아비트럼 다오(DAO) 커뮤니티가 2024년 1월 31일까지 세 차례에 걸쳐 지원한다.

[외신 "바이낸스US 거래량 감소세 지속...경영진 줄퇴사+규제 탓"]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더타이터미널(The Tie Terminal)의 데이터를 인용 "9월 16일 바이낸스 미국 지사 바이낸스US의 일일 거래량이 509만 달러를 기록하며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지난 9월 9일에는 약 297만 달러의 일일 거래량을 기록, 사상 최저 거래량을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코인텔레그래프는 "바이낸스US의 거래량 급감은 브라이언 슈로더 CEO의 사임을 비롯한 글로벌 경영진의 줄사퇴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제 여파"라고 분석했다.

[보고서 "암호화폐 채굴기 시장, 2026년 $92억 규모까지 성장 가능"]

시장조사기관 테크나비오(Technavio)가 최근 자체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 채굴기 시장 규모는 오는 2026년까지 최대 92억 1000만 달러로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채굴은 느리고 과정도 번거롭기 때문에 소규모 사업장들 입장에서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현재 암호화폐 채굴기 시장은 클라우드 마이닝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인프라가 개선되며 소규모 채굴 업체들도 클라우드 마이닝 사업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유명 BTC 투자자 "SEC 위원장, 노후 대비 'BTC 현물 ETF 승인' 가능성"]

X(트위터) 팔로워 13만의 유명 비트코인 투자자 마이크 알프레드(Mike Alfred)가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최근 지인 및 어드바이저들에게 '위원장직 퇴임 이후 자리(직장)를 마련하기 위해 주요 자산운용사의 BTC 현물 ETF를 1개 이상 승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는 제보를 내부자로부터 입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또 '퍼스널 베트남(personal Vietnam)'에서 우아하게 탈출하고 싶다'고도 말했다"고 덧붙였다. 퍼스널 베트남은 1997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인터뷰에서 파생된 신조어로, 베트남 전쟁의 끔찍한 경험을 빗댄 '어려운 상황'을 의미한다. 한편 해당 내용은 마이크 알프레드의 일방적 주장으로, 내부자의 실체 등 사실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펙실드 "마크 큐반 월렛 해커, $86만 상당 ETH 외부 이체"]

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실드가 방금 전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크립토 친화적 캐나다 억만장자 기업가 마크 큐반(Mark Cuban)의 월렛에서 암호화폐를 탈취한 해커 추정 주소가 약 526 ETH(약 86만 달러)를 외부 주소로 이체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펙실드는 "해커의 세탁용 주소는 바이낸스, 체인지나우 등 중앙화 거래소와 상호작용한 거래 내역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코인니스는 지난 주말 마크 큐반의 월렛이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포착됐다고 전한 바 있다.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 GMX, V2 누적 거래량 $10억 돌파]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18일 기준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 프로토콜 GMX의 V2 플랫폼 누적 거래량이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현재 GMX V2의 누적 거래량은 약 10억 2,774만 달러를 나타내고 있으며, 지난 24시간 약 1,274만 달러 상당의 거래량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GMX는 현재 2.50% 오른 32.8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경찰, `MZ 조폭` 수사 전방위 확대…코인 및 자금출처 등 집중]

이데일리에 따르면, 서울경찰청은 18일 “롤스로이스 등 일명 ‘MZ 조폭’과 관련해 일선 경찰서에서 진행 중인 사건에 대해 광역수사단에서 모든 사건을 취합해 집중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폭 개입 여부 및 자금 출처 여부는 강력범죄수사대가, 코인 사기 등 금융범죄 관련 수사는 금융범죄수사대에서 진행키로 했다.

[솔라나 폰 '사가' 댑스토어서 OKX 월렛 앱 출시]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X가 공식 채널을 통해 솔라나(SOL) 웹3.0 스마트폰 사가(Saga)의 댑(dApp) 스토어에서 자체 개발 암호화폐 월렛 OKX월렛 앱을 출시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지난 4월 솔라나 랩스 산하 솔라나 모바일은 사가 폰을 출시한 바 있다.

[분석 “ETH, 테이커 매수-매도 비율 급등…가격 상승 시그널”]

크립토퀀트의 기고자 Greatest_Trader가 “최근 이더리움 테이커 매수-매도 비율 지표가 급등했다. 이 지표가 양수 전환된다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새 국면이 펼쳐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 지표는 매수자나 매도자가 얼마나 공격적으로 주문을 체결하는지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지난 몇 달 동안에는 이 지표가 계속 음수였었다”고 설명했다.

[홍콩 경찰, JPEX 사건 관련 인플루언서 체포]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홍콩 경찰이 현재 수사 중인 암호화폐 거래소 JPEX와 관련해 인플루언서 린 주오(Lin Zuo)를 체포했다. 사건을 맡은 홍콩 경제범죄수사국은 오늘 린 주오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미디어는 "린 주오는 JPEX가 일부 거래 기능을 중단한 뒤 이용자 사이에서 자칫 출금이 불가능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자 '나 역시 이번 조치로 피해를 입었으며 JPEX 정상화에 힘 쓰겠다'고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 또 그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JPEX 사태가 발생하자 홍콩 입법회 의원 2명이 내게 연락을 취했고 경찰과 함께 조만간 후속 조치를 취하겠다고 알려왔다'는 내용도 포스팅 했다. 다만 그의 구체적인 혐의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설문조사, 국내 투자자 37%, 이번주 BTC 상승 전망]

코인니스와 크라토스가 공동 진행하고 있는 주간 국내 투자자 시장 동향 정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7.0%(전주 35.8%)가 이번주 비트코인이 상승 또는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주 대비 투자 심리가 소폭 완화됐다. 시장에 대한 심리를 묻는 질문에는 45.9%가 중립이라고 답했다. 낙관 또는 극단적 낙관이라고 답한 비중은 30.2%로 전주 대비 소폭 상승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도지를 제외한 이번주 매도 예정 암호화폐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트론을 꼽았다. 솔라나, 아하토큰, 폴리곤, 밀크 등이 뒤를 이었다. 매수 예정 암호화폐는 트론, 폴리곤, 솔라나, 아하토큰, 카르다노 순으로 나타났다.

[하이스트리트 베스팅 월렛, 특정 주소로 203만 HIGH 이체]

엠버CN에 따르면 하이스트리트(Highstreet) 베스팅 추정 월렛이 락업 해제한 203만 HIGH(266만 달러 상당)를 특정 주소(0x867)로 이체했다. 이후 0x867 주소는 132개 주소로 HIGH를 분할 이체했다. 한편 오늘 하이스트리트 트레저리 추정 주소는 400만 HIGH(512만 달러 상당)를 바이낸스로 입금한 바 있다.

[데이터 "베이스 TPS, 레이어2 중 최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L2비트(L2BEAT) 데이터를 인용해 "9월 17일 코인베이스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BASE)와 zkSync Era의 초당 트랜잭션 처리 수(TPS)가 각각 12.93, 12.62를 기록했다. 이더리움 TPS는 10.18을 나타냈다"고 전했다. 한편 베이스는 총 락업예치금(TVL)도 3.74억 달러를 기록, 솔라나(SOL)의 TVL(3.46억 달러)을 넘어서기도 했다.

[컴투스 엑스플라, 웹3 인프라 네프타와 파트너십]

뉴스1에 따르면 컴투스 그룹 블록체인 메인넷 엑스플라(XPLA)가 웹3 인프라 기업 네프타(Neft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XPLA는 이번 파트너십 체결과 관련해 "웹3 기반 게임 개발을 돕는 네프타의 '네프타 툴박스'가 XPLA 메인넷에 연결돼 손쉬운 개발 환경이 구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프타 툴박스는 토큰 및 NFT 생성과 배포 등을 포함한 웹3 기술 인프라를 지원한다.

[구글클라우드 웹3 책임자 "암호화폐 업계, 토큰 가격에만 집중"]

구글 클라우드의 웹3 엔지니어링 책임자 제임스 트로만스(James Tromans)가 "암호화폐 업계는 실제 비즈니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컨트랙트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기보다 토큰 가격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토큰의 수요 공급 역학보다는 스마트컨트랙트 비즈니스 논리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블록체인 기술이 결제 문제를 해결하고, 비용을 낮추며, 아티스트가 작업에 대한 대가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과정에서 실제 기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디테일에 치중하기 보다는 우선 기술의 광범위한 채택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웹3가 보급된다면 우리는 그것을 웹3라고 부르지 않고, 단지 웹이라고 부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애니모카브랜드 설립자, NFT 매입해 APE 홀더에 대출 추진]

얏 시우 애니모카브랜드 공동 설립자가 에이프코인 커뮤니티에 NFT 커뮤니티 볼트와 시스터DAO를 신설하자는 내용의 제안을 상정했다. 해당 제안에 따르면 NFT 커뮤니티 볼트는 여러 분야의 NFT를 매입, APE 보유자에게 대출해준다. 이를 통해 에이프코인 생태계가 NFT IP를 활용하도록 지원한다는 취지다. 초기 예산으로는 75만 APE가 할당된다. 이 제안에 대한 투표는 21일 19시(한국시간)까지이며 현재까지 찬성률은 76.21%다.

[크립토펑크 #3609, 420 ETH에 판매]

이더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특정 주소(0x93Ba로 시작)가 한 주소(0x8f58)로부터 크립토펑크 #3609 NFT를 420 ETH(67.8만 달러 상당)에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NFT는 88 좀비 펑크(Zombie Punk) 시리즈 중 하나로, 2021년 375 ETH에 판매된 바 있다. 코인게코에 따르면 크립토펑크 NFT 바닥가는 현재 47.0 ETH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 "대만, 가상자산국 설립 추진...엘살바도르와 소통 채널 마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대만 금융감독위원회가 지난 7일 실시한 암호화폐 감독에 대한 공청회에서 업계 관계자들과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를 허용할지 여부에 대해 논의했다. 대만은 현재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암호화폐 파생상품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정부는 산업 진흥을 위해 논의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대만 정부는 가상자산국(VCBA) 설립을 추진하고,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엘살바도르와 소통 채널을 마련할 예정이다. VCBA는 암호화폐 관련 특별법 제정을 목표로 규제 가이드라인, 사기·자금세탁 방지책, 기존 금융과의 연계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독일, 바이비트 해킹 연루 암호화폐 554억 원 압수…역대 3번째 규모

리플(XRP), 교육에 365억 원 투입… '암호화폐 실사용' 논의 점화

댓글

22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러너일이

2023.09.19 08:22:26

잘 읽었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빅리치

2023.09.19 08:11:38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3.09.19 07:27:28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hang0833

2023.09.19 06:35:47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3.09.19 06:13:26

고맙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3.09.19 06:13:21

고맙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XDC★PLI

2023.09.19 05:19:3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egoboss

2023.09.19 01:25:4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imhappy

2023.09.19 00:56:3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투명잉크

2023.09.19 00:39:3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