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스텔라($XLM), '골든 크로스' 진입 실패…페이팔 채택 여부가 최대 변수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스텔라($XLM)는 골든 크로스에 도달하지 못했으나 상승세 속에 기술적 전환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페이팔의 채택 여부가 향후 관건으로 지목된다.

 스텔라($XLM), '골든 크로스' 진입 실패…페이팔 채택 여부가 최대 변수 / TokenPost Ai

스텔라($XLM), '골든 크로스' 진입 실패…페이팔 채택 여부가 최대 변수 / TokenPost Ai

스텔라(XLM)가 최근 시장 반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데드 크로스’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며 주목받고 있다. 통상 골든 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발생하는 강세 신호로 간주되지만, 스텔라는 아직 이동평균선 조정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시장 전체의 랠리에 따른 단기 상승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트레이딩뷰에 따르면 현재 스텔라의 9일 이동평균선은 21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지 못해 차트상 골든 크로스가 성립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지금의 상승세가 강하게 유지된다면, 조만간 골든 크로스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변수는 거래량이다. 현재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88% 감소한 1억 6,061만 달러(약 2,233억 원)로 ‘레드 존’에 머물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이어진다면 상승 탄력은 충분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가격 측면에서 스텔라는 24시간 만에 6.29% 상승한 0.2446달러(약 340원)로 거래됐다. 당일 최저가는 0.2301달러(약 320원), 최고가는 0.2477달러(약 344원)를 찍었으나 장 후반부로 접어들며 횡보 국면에 들어갔다. 이는 일부 차익 실현성 매도세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

추가 상승의 분수령은 기관 파트너십에 달려 있을 것이란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특히 페이팔이 스텔라 네트워크에 기반한 결제 기능을 런칭할 경우, XLM의 실사용 사례 확대는 물론 대규모 사용자 유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 알렉스 크리스(Alex Chriss) 페이팔 CEO는 스텔라 도입이 개발자 친화적 생태계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현재 스텔라는 암호화폐 시가총액 기준으로 전체 17위에 올라 있으며, 16위인 아발란체와는 약 3억 1,000만 달러(약 4,309억 원)의 시총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신규 파트너십 및 기술적 돌파가 현실화될 경우 스텔라가 랭킹 상위를 탈환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총체적으로 스텔라는 아직 완전한 골든 크로스에 도달하진 못했지만, 강세 전환의 기로에 서 있으며, 거래량과 주요 기관 채택 여부가 향후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릴라당

05:02

등급

StarB

00:02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7.04 05:02:4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7.04 00:02:1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