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김프 리포트] NEWTON, 연 9% 넘는 펀딩비 수익…GLM 등 알트코인 전략 주목

프로필
강이안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Newton Protocol(NEWT)이 펀딩비 수익률 상위 종목으로 부상하며 마진 숏-롱 전략에서 최대 연 9.23% 수익률을 기록했다. Golem(GLM) 등도 주목할 만한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무기한 스왑의 펀딩비율 순위 / 데이터맥시플러스

무기한 스왑의 펀딩비율 순위 / 데이터맥시플러스

무기한 선물은 투자 심리에 따라 현물과 가격 차이가 생긴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차를 조정한다.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이 숏에게, 낮으면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해 현물과 선물 가격 균형을 맞춘다. 이 구조를 활용,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한 상태에서 펀딩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이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높은 펀딩비로 수익 기회를 나타내는 상위 종목들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7월 27일 21시 45분 기준,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Newton Protocol(NEWT)이 펀딩비 기준 가장 높은 수익 기회를 제공한 종목으로 나타났다.

Bybit에서 마진 숏 포지션을 취하고 Gate.io에서 선물 롱 포지션을 보유하는 전략으로 NEWT 종목에는 -7.53%의 펀딩비가 적용되어 연환산 수익률 기준 7.53%, 연간 예상 펀딩비 수익은 약 37,598.97달러에 달한다.

또한, Gate.io 선물 롱 포지션과 Bitget 현물 숏 포지션을 병행한 전략의 경우 연환산 수익률은 9.23%에 달하며, 연간 수익은 약 46,099.04달러가 예상된다. 같은 전략은 Gate.io 선물과 자체 현물 거래쌍을 활용할 경우에도 유사한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olem(GLM)의 경우 OKX 선물 시장의 롱 포지션과 Bitget 혹은 Binance 현물 시장의 숏 포지션 병행 시 연환산 수익률 6.85%, 연간 약 34,200달러의 수익 가능성이 제시됐다.

이 전략은 선물 시장에서는 롱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현물 시장에서는 가격 변동성을 헷지하기 위한 마진 숏 포지션을 구성하는 구조다. 펀딩비가 음수일 경우, 선물 시장에서 펀딩비를 수령하고, 현물에서 매도 포지션으로 리스크를 줄이는 방식이다.

다만 마진 거래에는 이자 및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실질 수익률을 따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펀딩비가 단기적으로 깊은 음수를 기록하는 종목의 경우 짧은 보유 기간으로도 수익 실현이 가능해 전략 실행의 진입 장벽이 낮은 특징이 있다.

암호화폐 시세 데이터
최고·최저 펀딩비 / 데이터맥시플러스

이 시각 최고·최저 펀딩비 종목

펀딩비율이 높은 종목은 트레이더들이 롱 포지션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반면,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인 종목은 숏 포지션 우위로 해석된다.

🔼 최고 펀딩비 상위 5종목

▲ Gate.io의 HSK/USDT (5.59%)

▲ Bitget의 CROSS/USDT (2.00%)

▲ Bybit의 XEM/USDT (1.97%)

▲ Gate.io의 WEMIX/USDT (1.70%)

▲ Bitget의 FRAG/USDT (1.52%)

🔽 최저 펀딩비 하위 5종목

▲ Bitget의 FRAG/USDT (1.52%)

▲ Gate.io의 WEMIX/USDT (1.70%)

▲ Bybit의 XEM/USDT (1.97%)

▲ Bitget의 CROSS/USDT (2.00%)

▲ Gate.io의 HSK/USDT (5.59%)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높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으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는 현물 매수와 선물 숏(공매도) 전략을 구사해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활용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와 자금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