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국세청이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약 7,322억 원(약 437크로어 루피)에 달하는 암호화폐 관련 세금을 징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조세 회피 행위를 적극적으로 막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디지털 자산 투명성 제고에 확실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
라마크리슈나 아그라왈(Ravi Agrawal) 인도 중앙직세위원회(CBDT) 위원장은 최근 경제지 인터뷰에서, 비트코인(BTC) 등 가상자산을 활용한 거래 흐름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머신러닝, 디지털 포렌식 도구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AI는 거래소가 제출한 원천징수(TDS) 데이터와 납세자의 신고 내역을 자동 대조해, 누락된 신고를 실시간 탐지할 수 있게 만든다”고 전했다.
정부는 이와 동시에 국제 조세 공조 강화를 위한 ‘암호화 자산 보고 프레임워크(CARF)’를 도입해, 국가 간 부정확한 정보 공유 문제도 해결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탈중앙화 성격의 디지털 자산 거래가 해외에서 이뤄지는 경우에도 과세 정보를 자동으로 추적·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코인BX(KoinBX) CEO 사라바난 판디안(Saravanan Pandian)은 “이제 암호화폐 거래는 단순 개인 자산이 아닌 국제 조세 체계 아래 놓이게 됐다”며, “CARF는 글로벌 세무 투명성의 새로운 기준을 설정해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9포인트 캐피탈(9Point Capital)의 최고 리스크 책임자(CRO) 소누 자인(CA Sonu Jain)은 “정부가 지갑 식별과 자동 정보 교환 체계를 현실화하려는 움직임은 회색지대였던 가상자산의 투명성 확보에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는 곧 각종 소비자 보호와 탈세 방지를 위함”이라고 말했다.
2025년 들어 인도 정부는 암호화폐 세제, 소비자 보호, 탈중앙화 지갑 식별, 국경 간 정보 공유 등 디지털 자산 규제 전반에서 고도화된 조치를 실시 중이다. 특히 이번 사례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세무 포착 능력을 입증하며, 암호화폐 불법 행위에 대한 대응력을 크게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된다.
투명성과 국제 공조, 세무 자동화가 인도 정부의 디지털 자산 정책 핵심 축으로 자리 잡으며, 추후 기타 국가들이 유사한 체계를 도입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