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가 익명성을 가진 자유로운 금융 수단으로 인식되곤 하지만, 전 세계 주요 세무 당국은 이를 주식이나 부동산과 같은 ‘자본 자산’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매각, 교환, 심지어 암호화폐 간 스왑 거래까지 모두 과세 대상이 되며, 미신고 시 과태료나 세무 조사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 국세청(IRS), 영국 재무국(HMRC), 호주 국세청(ATO) 등은 암호화폐 거래에 세금을 부과하며, 이들 기관은 전 세계적으로 거래 데이터를 공유하고 추적하기 위해 국경을 넘는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암호자산 보고 프레임워크’(CARF) 같은 글로벌 기준을 통해 디파이(DeFi)나 프라이버시 코인까지 감시망에 포함시키고 있다.
세무 당국은 체인애널리시스(Chainalysis), 엘립틱(Elliptic) 같은 블록체인 분석 기업과 협력해 지갑 주소와 실제 인물을 연결하고 거래 내역을 정밀 분석한다. 탈중앙화 플랫폼이나 크로스체인 브리지, 믹서 서비스를 사용하더라도 거래 기록은 블록체인에 영구 보존되기 때문에 쉽게 추적된다.
암호화폐를 보유만 하는 ‘홀딩(HODL)’은 과세 대상이 아니지만, 이를 매도하거나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익은 자본이득세 대상이 된다. 게다가 스테이킹 수익, 에어드롭, 마이닝 보상 등에서 발생한 수익은 받을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소득세 신고가 필요하다. 암호화폐를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한 경우에도 매수·매도 가격의 차이에 따라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하며, 역시 과세된다.
암호화폐 세금을 회피하는 주요 이유는 이해 부족, 서류 정리 어려움, 익명성에 대한 오해 등이다. 특히 KYC(고객신원확인)를 요구하지 않는 거래소나 자체 보관 지갑을 이용해 당국의 시야를 피해보려는 사례도 있기 때문에, 당국은 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정확한 세금 보고를 위해서는 거래 날짜, 수량, 거래 당시 시장가 등 모든 거래 내역을 기록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탈세나 세금 누락으로 인한 과태료, 이자, 심한 경우 형사처벌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암호화폐 세제는 지속적으로 변경되고 있어, 최신 동향을 확인하고 성실하게 신고하는 태도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세무 당국은 더 이상 암호화폐 거래를 회색지대로 보지 않는다. 글로벌 협력 확대와 기술 발전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거래 추적이 정밀해졌으며, 미신고 암호화폐 소득은 머지않아 들킬 가능성이 높다. 암호화폐도 자산이라는 인식 아래, 성실한 세금 신고가 새로운 시장 질서를 만드는 열쇠가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