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스타트업 투자 유치, '탑다운 함정'보다 실행력이 핵심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1
1

시장 규모만 믿고 매출 예측하는 탑다운 방식은 투자자 신뢰 얻기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실행력에 기반한 바텀업 모델이 설득력 있는 투자 전략으로 평가된다.

스타트업 투자 유치, '탑다운 함정'보다 실행력이 핵심 / TokenPost Ai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자금 유치 현장에서 범하는 대표적인 실수 중 하나는 시장 규모를 근거로 매출 전망을 설정하는 '탑다운 방식(top-down approach)'을 과신하는 것이다. 사업계획서에 매끈한 슬라이드와 유망한 이야기를 담아도, 지나치게 이상적인 추산에 기초한 탑다운 예측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한 창업자가 "시장 총 규모가 40억 달러이고, 이 중 2.5%만 확보해도 4년 내 1억 달러 매출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고 가정하자. 숫자로는 그럴싸하게 들릴 수 있지만, 정작 투자자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다. 웬만한 경력의 투자자는 이런 유형의 발표를 수없이 경험해왔고, 구체적 실행력보다 희망적 전망에 치중한 계획은 곧바로 '레드 플래그'로 간주한다.

탑다운 예측은 흔히 '이상적인 시나리오 하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반면, '바텀업 방식(bottom-up approach)'은 조직의 실제 역량과 자원을 기반으로 현실적인 성장 궤적을 그리는 데 집중한다. 예를 들어, 현재 팀 구성으로 몇 명의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지, 어떤 가격 전략이 가능한지, 운영 비용과 마진은 어떤 수준인지 세부적으로 분석해야 진짜 예측력이 있는 모델이 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바텀업 방식이 투자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가장 설득력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고객 획득 비용(CAC), 고객 생애가치(LTV), 이탈률, 이익률, 인력 구조 등이 포함된 모델은 단순한 기대치가 아니라 실제 비즈니스 엔진으로 작동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바텀업 계획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도 갖춘다. 마케팅 예산이 늘거나 인력 채용이 확대될 경우, 예상 수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즉시 시뮬레이션할 수 있고, 투자자가 원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물론 시장의 총 규모에 대한 인사이트는 여전히 중요하다. 다만 그것은 '현실적 하향식 검증 도구'로만 사용해야 한다. 바텀업으로 제시한 예측이 시장 규모를 초과해 비현실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확인하는 정도다.

투자로 연결되는 사업 계획서의 핵심은 숫자의 크기가 아니라 실행력이다. 시장을 시작점으로 삼는 대신, 실행력을 기반으로 시장에 다가서는 접근이 투자 성공 확률을 높이는 전략임은 분명하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1mini

01:16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5.03 01:16:30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