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리서치는 실사용 인프라의 가속과 제도권 포섭이 동시에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이(Sui)는 DEX 일평균 거래량이 전분기 대비 20.8% 늘고 TVL이 44.3% 증가하며 개발·기관 채널 모두에서 확장세를 확인했고, BNB 체인은 초저가 가스·연쇄 하드포크를 통해 트랜잭션·지갑 수를 폭증시켰다. XRPL은 스테이블코인(RLUSD) 확대, RWA 온체인화, EVM 사이드체인 등으로 기관 채택 기반을 강화했다.
프로토콜·앱 단에서는 레이디움이 런치랩 성공·자사주매입으로 높은 수익성과 TVL 성장을 동시에 확보했고, 로닌은 전체 지표 둔화 속에서도 NFT·게임·디파이 축을 키우며 플랫폼화에 속도를 냈다. 소닉 SVM의 ACM(어텐션 캐피털 마켓)은 참여를 유동적 자산으로 구조화해 인센티브의 품질을 높였고, 크립토닷컴은 이더리움 가스 메커니즘이 보안·스팸방지·수수료 효율의 핵심임을 재확인했다. 거시 측면에선 AM 매니지먼트가 9월 금리 인하 기대와 BTC 핵심 지지선 공방을 짚었고, 코인이지는 BTC·스테이블코인 중심의 구조적 버블 가능성과 정책·자금 흐름의 결합을 경고했다.
[토큰포스트 리서치 바로가기] l [토큰포스트 팟캐스트 바로가기]
■ 메사리 리서치 (Messari Research)
수이, 기술·재무 전방위 성장…'탈중앙화 선도 블록체인' 도약 신호탄
수이(SUI)는 2025년 2분기 DEX 거래량, 시가총액, TVL 모두에서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생태계 확장의 속도를 높였다. 세투스와 블루핀 같은 주요 DEX가 활발한 거래를 이끌었고, 스테이킹 참여율도 안정적인 네트워크 기반을 뒷받침했다. 특히 미스틴 랩스의 기술 업그레이드와 기관 ETF 상품 출시가 맞물리면서, 수이는 단순한 성장세를 넘어 탈중앙화 선도 블록체인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
리서치 바로가기 | 기사 바로가기 | 팟캐스트 바로가기
“게임 체인 그 이상”...메사리, 로닌의 NFT·디파이 확장성과 웹3 전환 진단
로닌은 단기적으로 시가총액과 이용자 지표가 감소했지만, NFT 거래와 신규 게임 성장세가 뚜렷이 나타났다. 특히 ‘진스 포춘 스핀’ 같은 게임화된 NFT 기능은 사용자 참여를 크게 끌어올리며 플랫폼 차별성을 강화했다. 여기에 디파이 인센티브 프로그램과 체인링크 CCIP 도입이 맞물리며, 로닌은 단순 게임 체인을 넘어 웹3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리서치 바로가기 | 기사 바로가기 | 팟캐스트 바로가기
“어텐션이 곧 자산”…메사리, 소닉 SVM의 ‘ACM 보상 구조’가 웹3 경제판도 바꾼다
소닉 SVM은 ACM(Attention Capital Market) 보상 구조를 도입해 사용자 활동을 정량적 자산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실험을 선보였다. 단순 토큰 보상이 아니라 참여 지표별 점수를 기반으로 경제적 가치를 분배하는 방식은 웹3 생태계의 유지율 문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 게임 프로젝트와 디앱에서 적용 사례가 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참여 중심 경제 모델의 표준화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리서치 바로가기 | 기사 바로가기 | 팟캐스트 바로가기
BNB 체인, 수익 줄었지만 성장 지속…'0-Fee·초고속 거래'로 사용자 몰이 성공
BNB 체인은 가스비 인하로 분기 수익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거래량과 신규 지갑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성과를 거뒀다. ‘0-Fee 카니발’ 같은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사용자 유입을 견인했고, 로렌츠·맥스웰 하드포크로 트랜잭션 속도가 대폭 개선됐다. 여기에 스테이블코인 USD1 런칭과 디파이·NFT 회복세가 더해지며, BNB 체인은 고성능 이더리움 호환 네트워크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리서치 바로가기 | 기사 바로가기 | 팟캐스트 바로가기
레이디움, 거래량 감소에도 수익률 '최고'…메사리 리서치, 성장 모멘텀 진단
레이디움은 전체 DEX 거래량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토큰 자사주 매입과 런치랩 성공으로 강력한 수익성을 보여줬다. 런치랩은 빠르게 성장하며 솔라나 런치패드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했고, TVL도 50% 이상 늘며 투자자 신뢰를 높였다. 거래 내러티브가 밈코인에서 실물자산·안정성 중심으로 전환되는 흐름 속에서, 레이디움은 차별화된 성장 모멘텀을 확보했다.
리서치 바로가기 | 기사 바로가기 | 팟캐스트 바로가기
XRP, 기관용 핵심 인프라로 부상…“스테이블코인·RWA·EVM 지원이 성장 견인” - 메사리 리서치
XRP 레저는 ETF 승인 기대감과 RLUSD 스테이블코인 성장, RWA 온체인화 확대를 기반으로 기관 수요를 끌어들이고 있다. 특히 EVM 사이드체인 출시는 이더리움과의 호환성을 강화하며 생태계 확장을 가속화했다. DID와 AMM 클로백 등 규제 친화적 기능도 도입돼, XRP는 금융권과 정부의 디지털 자산 활용을 촉진하는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리서치 바로가기 | 기사 바로가기 | 팟캐스트 바로가기
■ 에이엠매니지먼트 (AM Management)
비트코인, 기준금리 인하 확정 속 주요 지지선 시험대 올라…AM 매니지먼트 '구조적 강세 지속'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현실화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단기 반등세를 보였지만, 107,000달러 지지선 테스트가 이어지고 있다. ETF 자금 유입과 기관 포지션 변화가 중장기 강세를 뒷받침하는 반면, 단기 변동성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CPI와 PPI 등 경제 지표 발표가 시장 방향성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 지목된다.
■ 코인이지 (CoinEasy)
비트코인, 구조적 버블인가 금융 패권의 중심인가…코인이지 리서치 분석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새로운 금융 버블 징후가 관측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 투기 사이클이 아니라, 제도권 편입과 글로벌 자본 흐름이 맞물린 구조적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각국 금리 인하와 유동성 확장이 비트코인의 급등을 이끌었지만, 긴축 전환 시 복합적 리스크가 시장에 충격을 줄 가능성도 높다.
■ 크립토닷컴 (Crypto.com)
가스 수수료, 단순 비용 아닌 '블록체인 생태계 유지 장치'…크립토닷컴 리서치 공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가스는 거래 수수료를 넘어 검증자 인센티브와 네트워크 보안 유지의 핵심 자원으로 작용한다. 사용자는 혼잡도와 비용을 고려해 가스 가격을 조정할 수 있고, 이는 거래 처리 속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크립토닷컴은 레이어 2 솔루션과 수수료 최적화 전략을 통해 가스비 절감이 가능하다고 분석하며, 향후 효율적인 거래 체계 구축이 블록체인 확장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