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UST, 첫 석좌교수 임명…연구 혁신과 교육 경쟁력 강화 시동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UST가 반도체·에너지 및 생명과학 분야 권위자인 이중기·오희목 교수를 첫 석좌교수로 임명하며 연구 및 교육 체계 고도화에 나섰다.

 UST, 첫 석좌교수 임명…연구 혁신과 교육 경쟁력 강화 시동 / 연합뉴스

UST, 첫 석좌교수 임명…연구 혁신과 교육 경쟁력 강화 시동 / 연합뉴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가 명예로운 연구 성과와 교육 업적을 쌓아온 과학자를 첫 석좌교수로 임명하면서, 대학 차원의 연구 역량 강화와 교육 혁신에 나섰다.

UST는 9월 2일, ‘석좌교수 제도’를 도입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쿨 소속 이중기 명예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쿨 소속 오희목 명예교수를 첫 석좌교수로 선발했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UST의 전현직 및 퇴직 교원 가운데 국내외 연구성과와 교육 성과가 탁월하다고 인정되는 이를 선정해, 대학 전반의 혁신을 주도하도록 하는 취지를 담고 있다.

이중기 교수는 반도체와 에너지 소재 분야에서 독보적인 업적으로 국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해왔다. 1984년부터 2023년까지 39년간 KIST에서 근무하며 228편의 국제학술논문(SCI급)을 발표했고, 84건의 특허 등록과 7건의 기술이전을 이끌어낸 바 있다. 특히 JCR 상위 5% 저널에 논문을 다수 게재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는 2007년부터 UST-KIST 스쿨 교수로 활동하며 박사 5명, 석사 4명을 배출했고, 제자들은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과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오희목 교수는 환경 및 미세조류 분야에서 30여 년 동안 연구를 이어온 생명과학 분야의 권위자로, 재직 중 37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2006년부터 2023년까지 17년간 UST-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쿨에서 교육자로서 박사 4명, 석사 5명을 길러냈고, 졸업생들은 바이오 벤처기업, 국립대학교, 국공립연구기관 등에서 전문 인력으로 활동 중이다. 환경생명공학의 실용화와 산업화에 기여한 연구자라는 점에서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UST는 이번 석좌교수들이 대학본부와 소속 스쿨의 교육과정 개선 자문과 학생 지원, 외국인 학생 프로그램 운영 등 다방면의 발전 과제를 맡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대임 총장은 "두 석좌교수의 풍부한 연구 경험과 교육적 헌신이 UST의 성장에 중요한 힘이 될 것"이라며, “석좌교수제를 통해 교수진의 전문성과 대학의 교육경쟁력을 동반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는 국가 전략기술 인재 양성을 목표로, 32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스쿨 형태로 활용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국가연구소대학이다. 정부와 연구기관, 교육현장이 결합된 구조를 통해 실질적인 연구 중심 교육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석좌교수제 도입은 이 체계를 더욱 고도화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UST의 인사 개편은 향후 각 스쿨 간 지식과 경험의 공유를 촉진하고, 국내 과학기술 인재 양성과 국제 경쟁력 제고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