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테슬라, 인도 시장서 부진... 첫 주문 600대 그쳐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4

테슬라가 인도 시장 진출 두 달 만에 600여대 주문에 그치며 초기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BYD는 현지화 전략과 가격경쟁력으로 테슬라를 앞섰다는 평가다.

 테슬라, 인도 시장서 부진... 첫 주문 600대 그쳐 / 연합뉴스

테슬라, 인도 시장서 부진... 첫 주문 600대 그쳐 / 연합뉴스

테슬라가 지난 7월 중순 공식적으로 인도 시장에 진출했지만, 두 달여 만에 확보한 차량 주문이 600여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의 글로벌 브랜드 영향력을 감안할 때 기대에 크게 못 미치는 성적이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인도 시장 진입 초기 목표였던 연간 2천500대 규모의 할당량을 채우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 회사 내부적으로도 올해 350~500대를 인도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첫 출고 차량은 중국 상하이에서 출발해 이달 초 인도에 도착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차량 인도는 뭄바이, 델리, 푸네, 구루그람 등 주요 4개 도시에 국한된다.

테슬라가 고전하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인도는 수입 차량에 대해 최대 100%에 달하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자동차 시장 조사기관 JATO 다이내믹스에 따르면, 테슬라가 인도에 출시한 모델Y 기본형의 가격은 600만루피(한화 약 9천만원)에 이른다. 이는 인도 전기차의 평균 판매가인 220만루피의 거의 세 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가격 민감도가 높은 인도 소비자들에게는 큰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여기에 정치적 변수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와 조 바이든 행정부 간 관계가 다소 냉랭한 가운데,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과는 상대적으로 가깝다는 점도 시장에는 복합적인 신호로 비치고 있다. 미국과 인도 간 무역 및 외교 관계가 긴장 상태를 이어가는 상황도 테슬라의 시장 확장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쟁사와의 시장 성과 차이도 눈에 띈다. 같은 기간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는 약 490만루피부터 시작하는 SUV 모델 ‘시라이언 7’을 통해 인도 시장에서 1천200대를 판매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테슬라보다 높은 실적이며, 가격 경쟁력과 현지화 전략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같은 흐름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독주 체제가 점차 균열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현지 시장의 특성과 정책 환경을 반영한 전략 수정이 없을 경우, 향후 인도뿐 아니라 다른 신흥시장에서도 고전할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릴라당

04:52

등급

가즈아리가또

01:11

등급

사계절

00:11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9.03 04:52:4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가즈아리가또

2025.09.03 01:11:1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9.03 00:11:0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