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콩, API와 AI 통합 수익화 도구 공개…“AI 인프라 수익의 시대 연다”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콩(Kong Inc.)이 API 서밋 2025에서 AI 모델과 API 사용량 측정 및 과금 솔루션을 공개하며 AI 인프라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오픈미터 인수 기술 기반으로 디지털 자산의 수익화 전환을 가속하고 있다.

 콩, API와 AI 통합 수익화 도구 공개…“AI 인프라 수익의 시대 연다” / TokenPost.ai

콩, API와 AI 통합 수익화 도구 공개…“AI 인프라 수익의 시대 연다” / TokenPost.ai

API 기술 전문 기업 콩(Kong Inc.)이 연례 개발자 행사인 ‘콩 API 서밋 2025’에서 새로운 수익화 도구를 대거 공개하며 AI 인프라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번 발표의 핵심은 새로 선보인 '콩 커넥트 미터링 앤 빌링(Konnect Metering and Billing)'이다. 콩이 지난 9월 인수한 오픈미터(OpenMeter)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 솔루션은 API와 데이터 스트림, AI 모델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과금하는 시스템이다.

콩은 기업들이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단순한 기술이 아닌 수익원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종전에는 사용량에 따른 요금제 구성이나 고객별 청구서 작성이 수동과 분산된 프로세스를 거쳐야 했다면, 이번 솔루션은 이를 일원화해 관리 효율성과 수익 극대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API와 AI 에이전트 기반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업의 기술 자산을 실시간으로 측정·통제·청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콩은 아마존웹서비스(AWS) API 게이트웨이와 통합된 ‘콩 커넥트 서비스 카탈로그’도 발표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온프레미스와 AWS 클라우드 환경의 API를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됐다. API 변경 사항을 빠르게 감지하고, 정책 적용 및 보안 관리도 통합적으로 이루어져 대규모 API 인프라에서 흔히 발생하는 스프롤(sprawl)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콩은 AI 에이전트를 위한 기술 스택도 한층 강화했다. 콩이 새로 출시한 타입스크립트 기반 '볼케이노 SDK(Volcano SDK)'는 AI 에이전트 개발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 기존에는 수백 줄에 달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했지만, 이 SDK를 활용하면 단 9줄의 코드로도 다중 API를 연동하고, 상황에 맞는 도구를 호출하는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다. 특히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의 지원 범위를 넓혀, AI가 API를 도구처럼 활용하는 데 필요한 맥락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 강점이다.

전문가들도 이번 발표의 전략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더큐브리서치(theCUBE Research)의 애널리스트 폴 내셔와티(Paul Nashawaty)는 “콩은 AI 에이전트 경제의 인프라 핵심축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며 “API, AI 모델, 이벤트 스트림을 측정 가능하고 가격을 매길 수 있는 상품 형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기술과 재무 통제를 융합해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준을 제시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서 콩은 자사의 기술을 활용해 혁신 성과를 낸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콩 이노베이터 어워드' 수상자 명단도 공개했다. 2025년 올해의 혁신 기업상은 BMW 그룹에 돌아갔다. BMW는 콩 플랫폼을 도입해 기존 레거시 API 게이트웨이를 클라우드 기반 허브로 전환하면서, 차량 연결 서비스인 ‘커넥티드드라이브’ 시스템의 응답 시간을 250밀리초에서 30밀리초 미만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외에도 시트긱(SeatGeek), 지멘스(Siemens), 영국 국세청(HMRC) 등이 수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API와 AI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는 지금, 콩은 단순한 기술 기업을 넘어 디지털 수익 운영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꾀하고 있다. 콩의 이번 발표는 AI 에이전트 활용 극대화와 API 기반 서비스의 효율적 운영을 고민하는 기업들에 현실적인 해법을 제시하며, AI 인프라 산업에서의 입지를 한층 공고히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