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가 자사의 클라우드 기반 AI 분석 플랫폼 ‘Viya’를 업그레이드하며 산업별 맞춤형 에이전트 AI 기능과 강화된 거버넌스를 앞세워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인공지능의 자율성이 확대되는 흐름 속에서 SAS는 ‘디시저닝(decisioning)’이라는 핵심 영역을 중심으로 고객의 생산성과 통제력을 높일 기술을 강조하고 있다.
제품 마케팅 수석 이사인 앨리스 맥클루어는 최근 SAS 이노베이트 2025 행사에서 “에이전트 기반 AI 시스템의 중심에는 의사결정의 구축, 배포, 거버넌스가 있다”며 “기업은 비즈니스 규칙과 워크플로우를 연동하고 AI의 결정 경로를 추적하면서 행동의 모든 이력을 데이터로 환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SAS가 표방하는 ‘에이전틱 AI’ 전략은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인간의 역할까지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방향이다.
AI 결정 체계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SAS는 ‘인간 개입 방식(human-in-the-loop)’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감독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판단은 반드시 사람의 검토가 필요하고, 어떤 부분은 AI에게 완전히 위임할 수 있는지를 정밀하게 구분함으로써 책임의 경계를 명확히 하겠다는 접근이다. 맥클루어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시스템에 불안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신뢰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업데이트는 AI 구매자와 개발자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 디자인됐다. 실무팀의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복잡한 비즈니스 과제를 풀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게 SAS의 판단이다. 이를 반영해 SAS는 산업별 사전 학습된 AI 에이전트를 제공하고, 강화된 통제 도구를 통해 기업 고객이 자체 요구사항에 맞춰 AI를 더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최근 기업의 AI 전략이 단순 도입을 넘어 신뢰성과 규제 대응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상황에서, SAS의 접근은 시장 내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의료, 금융 등 고위험 분야에서 AI 적용이 늘어나는 만큼, SAS가 제시한 통제 및 에이전시 프레임워크는 중요한 실용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