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TON '골든비자' 프로그램, UAE 정부의 공식 반박에 신뢰 추락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6

TON이 TON코인 스테이킹으로 UAE 골든비자를 취득할 수 있다고 발표했으나, UAE 정부 기관이 공식적으로 해당 내용을 부인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TON '골든비자' 프로그램, UAE 정부의 공식 반박에 신뢰 추락 / TokenPost AI

TON '골든비자' 프로그램, UAE 정부의 공식 반박에 신뢰 추락 / TokenPost AI

오픈 네트워크(TON)가 두바이 장기체류를 위한 새로운 경로로 제시한 ‘TON 골든비자’ 프로그램이 아랍에미리트(UAE) 당국의 부인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텔레그램에서 갈라져 나온 TON은 일정 금액 이상의 TON코인을 예치하면 골든비자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지만, UAE 정부 기관은 해당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TON은 지난 6일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10만 달러(약 1억 3,900만 원) 상당의 TON코인을 3년간 스테이킹하고, 3만 5,000달러(약 4,865만 원)의 수수료를 납부하면 10년 유효기간의 UAE 골든비자를 획득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문서 제출일로부터 약 7주 이내에 비자를 받을 수 있으며, 일부 현지 파트너사가 비자 발급 및 거주 자격 인증을 전담한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하지만, 같은 날 UAE 국영통신사 WAM은 이와 상반된 내용을 보도했다. WAM은 아랍에미리트 연방 신원·시민권·세관·항만 보안청(ICP), 증권상품청(SCA), 그리고 가상자산 규제당국(VARA)의 공동 성명을 인용하며 “디지털 자산 보유를 근거로 골든비자를 발급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VARA는 TON이 자국에서 인가받은 업체가 아니며, 규제의 대상도 아니라고 명확히 밝혔다.

UAE 당국은 “디지털 자산 투자는 별도의 규제를 받으며 골든비자 대상과는 관련이 없다”며, 투자자들에게 허위 정보나 사기를 피하기 위해 공식 채널을 통해 정보를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앞서 TON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스테이킹된 자산에 대한 통제권은 신청자에게 남으며, 블록체인상 스마트 계약을 통해 완전한 투명성과 보안이 보장된다고 주장했다. 또, 연 3~4%의 수익률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과 함께, 배우자 및 자녀, 부모까지 동반 비자 혜택을 제공한다고 홍보했다.

이번 사태로 TON이 내세운 골든비자 프로그램은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었으며, 트럼프 대통령 집권 후 반등 조짐을 보이던 암호화폐 관련 해외 체류 비자 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불가피해 보인다. 데이터와 허가 여부를 명확히 확인하지 않은 채 고수익과 이민 혜택을 내세운 마케팅이 또 다시 위험성을 드러낸 셈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6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7.07 12:37:3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7.07 10:25:5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7.07 08:24:26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