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 휴면 고래, 1만 BTC 추가 이동...한 지갑으로 물량 모으는 중?
엠버CN은 "14년 만에 1만 BTC를 이체했던 고래가 2개 지갑에 있던 20,009 BTC를 한 익명 주소로 이체한 상태다. 8만 BTC 전부를 하나의 지갑에 모으는 걸까?"라고 전했다.
고래, 14년 만에 1만 BTC 이체
엠버CN은 "8만 BTC를 14년간 보유하던 고래가 30분 전 움직였다. 그의 지갑 중 하나에서 10,009 BTC($12.2억)가 익명 주소로 이동했다"고 전했다.
아베 순예치금 $500억 돌파
탈중앙화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의 순예치금(net deposits)이 50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의 순예치금이 500억 달러를 돌파한 건 아베가 처음이다.
스윙매매 승률 81% 고래 16,677 ETH 매도...$742만 수익
엠버CN은 "BTC, ETH 스윙매매 승률 81%의 스마트머니가 50분 전 온체인 상에서 16677 ETH를 평균 $3051에 매도했다. 이 물량은 5월 31일 평균 $2606에 매수한 것으로, 이번 트레이딩을 통해 742만 달러 수익을 냈다"고 전했다.
그레이스케일, IPO 신청
그레이스케일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IPO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트리뉴스가 전했다.
블랙록 IBIT 이달 내 운용자산 $1000억 달성할 듯
블룸버그 수석 ETF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Eric Balchunas)가 X를 통해 “블랙록 IBIT가 운용자산(AUM) 880억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올 여름 중 1,000억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봤지만, 지금 추세라면 이달 내 달성도 무리가 아니다. IBIT는 2024년 1월 출시 이후 약 1년 반 만에 미국 전체 ETF 중 20위, 블랙록 내에서는 7위에 해당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성장”이라고 말했다.
분석 "7/9 이후 BTC 현물·선물 거래량 모두 급증"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가 X를 통해 "7월 9일 이후 BTC 거래량이 급증했다. 현물 거래량은 50.3%, 선물 거래량은 31.9% 증가했다. 이는 파생상품 수요뿐 아니라 현물 수요까지 이번 상승세를 견인했다는 의미다. 다만 올해 평균에 비해선 현물, 선물 거래량은 각각 23.4%, 21.9% 낮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번스타인 "BTC, 내년 초 $20만 도달"
비트코인이 내년 초 20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미국 월스트리트 소재 자산운용사 번스타인이 전망했다. 번스타인은 "이번 암호화폐 강세장은 기관이 주도하고 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기관의 신뢰가 어느 때보다 높아진 가운데, 규제 명확성까지 더해지면서 암호화폐 강세장이 올해 말에서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헝가리, 무허가 암호화폐 거래 시 형사처벌
헝가리가 이번 달부터 무허가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자, 이용자를 형사처벌한다고 포브스가 전했다. 무허가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이용자는 최대 2년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거래 금액이 커질수록 형량도 늘어난다. 현지 매체 텔렉스는 "약 50만명 헝가리인이 암호화폐를 구매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규제 도입으로 형사 처벌을 받는 사람이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벤치마크 "美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 통과 시 기관 암호화폐 도입 가속화"
미국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CLARITY)이 통과된다면 기관의 암호화폐 도입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미국 투자은행 벤치마크가 분석했다. 벤치마크 마크 팔머는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은 암호화폐를 상품과 증권으로 구분하여 명확한 규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법안이 통과되면 규제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때문에 기관의 디지털 자산 상품 개발이 속도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온도 파이낸스, 스트레인지러브 인수
온도 파이낸스(ONDO)가 공식 채널을 통해 블록체인 인프라 개발사 스트레인지러브(Strangelove)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온도파이낸스는 RWA를 온체인으로 이전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인젝티브 INJ 스테이킹 ETF 신청 예고
인젝티브가 INJ 스테이킹 ETF 신청을 예고했다. 그러면서 절차가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얄라, BTC 기반 원클릭 예치 수익 솔루션 '라이트모드' 출시
비트코인 네이티브 유동성 프로토콜 얄라(Yala)가 비트코인 기반 예치 수익 창출 솔루션 '라이트모드'(Lite Mode)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라이트모드는 얄라의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운용하는 예치 솔루션으로, 복잡한 디파이 운용 없이도 안정적인 비트코인 예치 기반 이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자는 얄라의 비트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YU를 통해 지급된다. 또한 얄라는 알케미페이 기반 결제 카드인 예티카드(Yeti Card)도 출시할 예정이다. 향후 얄라 사용자는 비트코인을 보유하며, 예치 수익으로 얻는 YU로 실생활 결제 가능해질 전망이다.
펀디에이아이 "임의 발행된 100만개 토큰 중 70% 회수"
펀디에이아이 관계자 Zac이 X를 통해 "2일 전 펀디에이아이에서 버그가 발견됐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100만 PUNDIAI를 임의 발행했으며 우리는 이중 70% 이상 회수했으며, 공격자 자금 27.7만달러 상당도 회수했다. 회수 못한 자금은 26만달러 상당이다. 수일 내 중앙화 거래소 입출금이 재개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업비트, 빗썸, 코인원은 펀디에이아이에서 보안사고가 발생, 거래유의종목으로 지정한 바 있다.
BTC 디지털, $100만 BTC 매입
미국 나스닥 상장사 BTC 디지털(BTC Digital, 티커: BTCT)이 100만 달러 상당의 BTC를 매입했다고 PR뉴스와이어가 전했다. 회사 측은 올해 말까지 총 1,000만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전략 비축 자산으로 편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니어스그룹, 32 BTC 추가 매수
비트코인을 재무제표에 편입한 인공지능(AI) 기반 교육기업 지니어스그룹(Genius Group)이 32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밝혔다. 현재 지니어스그룹는 180 BTC를 보유 중이다. 앞서 지니어스그룹은 앞서 1,000 BTC 매입 계획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스트래티지, 4225 BTC 추가 매수
스트래티지가 7월 7일부터 13일(현지시간)까지 4,225 BTC를 추가 매입했다고 AggrNews가 전했다. 평단가는 111,827 달러로, 총 4억 7250만달러 상당이다.
K33, 36 BTC 추가 매수
노르웨이 기반 암호화폐 중개 및 리서치 기업 K33이 36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밝혔다. 현재 보유량은 121 BTC다. 매수 평단가는 1,119,121 크로나(약 116,456 달러)다. 앞서 K33은 BTC 투자를 위해 1920만 달러 규모 주식 발행을 완료했다고 전한 바 있다.
BTCS, 14,522 ETH 추가 매입
미국 나스닥 상장사 BTCS가 공식 채널을 통해 14,522 ETH를 추가 매입했다고 밝혔다. BTCS는 현재 29,122 ETH(8730만 달러)를 보유 중이다.
아크인베스트, $864만 코인베이스 주식 매도
캐시 우드가 이끄는 아크인베스트먼트(ARK Invest)가 지난주 산하 ARKK 펀드를 통해 864만 달러 상당의 코인베이스 주식(COIN)을 매도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같은 날 코인베이스 주가는 종가 기준으로 상장 이후 최고가를 경신한 바 있다.
美 상장 채굴사 비트마인, 16.3만 ETH 보유 중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비트코인 채굴 회사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가 7월 14일(현지시간) 기준 163,142 ETH를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비트마인은 ETH 매수를 위해 2.5억 달러를 조달했다고 밝힌 바 있다.
BTC $122,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22,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21,960.9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121,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21,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20,955.0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