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XRP 기반 상장지수펀드(ETF)의 승인 여부를 둘러싸고 중요한 분수령이 될 7월이 시작됐다. ProShares, Turtle Capital, Volatility Shares 등 복수의 운용사들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XRP 선물 ETF 승인 신청서를 제출하고 이번 달 중 출시를 계획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ProShares는 7월 14일을 출시 목표일로 정하고 있으며, SEC가 이때까지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실제 상장까지 이어질 수 있다.
ProShares는 ‘ProShares Ultra XRP ETF’, ‘UltraShort XRP ETF’, ‘Short XRP ETF’ 등 세 가지 선물 기반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들 상품은 각기 다른 방향과 강도의 XRP 가격 변동률에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일부는 레버리지 및 인버스 구조를 택해 다양한 투자전략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중 Ultra XRP ETF는 이미 미국 예탁결제회사(DTCC) 목록에 UXRP라는 티커로 등재돼 있으며, 나머지 두 상품도 조만간 등재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Turtle Capital은 오는 7월 21일 ‘2X Long XRP Daily Target ETF’를 선보일 예정이다. Volatility Shares도 같은 날 두 종의 ETF를 목표로 하는데, 그 중 단순 추종형(1X XRP ETF)은 지난 7월 7일 SEC 심사를 통과하고 효력이 발생했다. 이번 달 말에는 REX-Osprey가 계획 중인 ETF도 7월 25일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7월 내내 XRP 관련 ETF 일정이 줄줄이 예정돼 있다.
다만 이번에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모든 상품은 공통적으로 현물 기반이 아닌 선물 기반 ETF라는 점에서, 현물 ETF 승인 여부와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현재 Spot XRP ETF의 경우 10개 이상의 신청서가 SEC에 제출돼 있으며, 공식적인 최종 결정 시한은 오는 10월 중순으로 예정돼 있다. SEC가 또다시 결정을 연기하지 않는다면, 향후 수개월 내 XRP 거래환경에 큰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이번 7월은 XRP ETF 출시에 있어 사실상 시험대이자 촉매제로 작용할 전망이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현물 ETF 허용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친 파급 효과를 고려할 때, XRP의 ETF 승인 여부도 그에 못지않은 의미를 지닌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SEC의 결단이 향후 XRP의 제도권 진입 가능성과 투자 포지셔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