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의 급등이 알트코인 시장의 상승 랠리를 이끌고 있다. 최근 1주일 새 24% 상승하며 비트코인(BTC)과 솔라나(SOL)을 제치고 다시 주목받는 중심축에 섰다. 이러한 상승세는 기관투자자들의 이더리움 ETF 자금 유입을 자극하며 2025년 알트코인 시즌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지난 일주일 동안 이더리움 ETF로 유입된 자금만 7300만 달러(약 1,015억 원)에 달하며, 블랙록이 하루 만에 추가한 투자 금액도 3억 달러(약 4,170억 원)에 이른다. 이더리움 관련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 역시 사상 최고치인 450억 달러(약 62조 5,500억 원)에 도달했다. 월스트리트 자금이 본격적으로 이더리움으로 유입되며 전문가들은 ETH가 장기적으로 3만 달러(약 4,170만 원)까지 상승할 여지까지 점치고 있다.
이런 시황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은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10배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유망 알트코인에 쏠리고 있다. 특히 온도파이낸스(Ondo Finance), 펜들(Pendle), 페페(PEPE)는 각각 독자적인 테마와 성과를 기반으로 급격한 상승 흐름을 나타내는 중이다.
온도파이낸스는 전통금융 자산을 온체인화하는 대표적 실물자산(RWA) 프로젝트로, 미 국채와 미국 주식을 토큰화해 디파이(DeFi)와 트래디파이(TradFi)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현재 온도파이낸스는 14억 달러(약 1조 9,460억 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 중이며, 블랙록, 씨티, JP모건 등 주요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성과 신뢰도를 동시에 확보했다.
펜들 파이낸스는 이더리움을 비롯한 스테이킹 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률을 분리·거래할 수 있는 구조화 상품 프로토콜이다. 올해 초 2억 3,300만 달러(약 3,239억 원)였던 TVL(총 예치 자산)이 최근 53억 달러(약 7조 3,700억 원)를 돌파하며 급성장했다. 코인베이스 상장을 마쳤고, 주요 이더리움 L2 네트워크와 연동이 완료돼 수요 기반 확대가 예상된다.
한편, 페페는 밈코인으로 출발했지만 이더리움의 가격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탄탄한 유동성과 거래량을 자랑하는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다. 강세장 때마다 폭발적인 상승세를 기록해온 만큼, 이번 이더리움 랠리 때도 시세 상승의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ETF 호재와 기관 자금 유입이 겹치며 시작되고 있는 이번 상승장은 알트코인 시장 전반에 걸친 확산세로 이어지고 있다. 온도와 펜들 같은 실물 기반 혹은 수익플랫폼, 그리고 페페 같은 ETH 연결 밈코인은 모두 이더리움 중심 사이클의 수혜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금이야말로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한 차세대 알트코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볼 적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