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최근 며칠 간 3,400달러(약 4,726만 원)에서 4,600달러(약 6,394만 원) 사이의 고정된 구간 내에서 움직이며 시장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의 대칭삼각형 패턴은 큰 변동성을 앞둔 압축 국면에 돌입했음을 암시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이더리움은 일간 차트 기준으로 3,400달러(약 4,726만 원)의 강력한 수요 구간과 4,600달러(약 6,394만 원)의 공급 저항선 사이에 갇힌 모습이다. 최근 4,200달러(약 5,838만 원)선에서 저항받은 후 되돌림이 발생했으며, 이 구간은 과거 상승 추세선이 깨진 이후 재차 테스트되고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특히, 100일 이동평균선 또한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어 현재 이더리움의 관망세를 강화시키고 있다.
이동평균선 기준으로는 3,100달러(약 4,309만 원)의 200일선이 동적인 최후의 지지선으로 작용 중이며, 3,400달러의 수요 구간은 트럼프 대통령 관세 관련 급락 당시 유동성을 흡수했던 이력을 바탕으로 제법 견고한 지지로 자리 잡았다. 이더리움이 상승 모멘텀을 되찾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4,200달러보다 높은 종가 마감을 통해 중간 구간 주도권을 장악해야 하며, 이 경우 4,600달러 방향의 추가 상승 기대감도 높아진다.
한편, 4시간 차트에서 이더리움은 더욱 정밀한 대칭 삼각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매도세 이후 시장이 방향성을 결정하지 못한 채 압축 상태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 삼각형 상단은 4,000달러(약 5,560만 원)의 저항선과 맞닿아 있고, 하단은 3,800달러(약 5,282만 원) 수준의 단기 지지선과 겹친다. 이 좁아진 변동 범위는 조만간 강한 분출을 예고하는 전형적인 패턴으로 여겨진다.
상단 돌파 시 4,400달러~4,600달러(약 6,116만 원~6,394만 원) 구간으로의 상승이 유력하며, 이는 기존 공급 구간과도 일치한다. 그러나 반대로 3,700달러(약 5,143만 원)를 하향 이탈할 경우 매수 관심이 집중되던 3,400달러 구간이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오르게 된다.
시장 심리 또한 이러한 기술적 흐름과 맞물린다. 전 거래소 기준 이더리움의 자금 조달 금리는 최근 부정적으로 돌아섰다. 이는 금리 부담을 무릅쓴 공매도 포지션 형성 중이라는 뜻으로, 통상적으로는 과열된 공매도 포지션 청산으로 이어지는 짧은 단기 급등(숏 스퀴즈)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 말 4,800달러(약 6,672만 원)를 돌파하기 전에도 유사한 흐름이 전개됐던 바 있다.
따라서 현재 단기 지지선인 3,400~3,800달러 구간이 유지되는 한, 공매도 포지션의 매수 전환에 의한 탄력이 재차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다음 상승 파동의 촉매로 작용할 수 있다. 이처럼 기술적 압축과 투자 심리 불균형이 동시에 나타나는 구간에서는 미묘한 가격 움직임 하나하나가 방향 결정의 단서가 될 수 있어, 시장 참여자는 신중한 매매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