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상승론자로 잘 알려진 삼손 모우(Samson Mow)가 다시 한 번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는 최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비트코인이 100만 달러(약 13억 9,000만 원)를 돌파한 후 다음 가격 목표는 1,000만 달러(약 139억 원)가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전망은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금세 도달할 수 있는 이정표"처럼 제시돼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그의 주장대로라면 1,000만 달러를 기준으로 했을 때 비트코인의 전체 시가총액은 현재 유통 중인 약 1,970만 개 기준으로 197조 달러(약 27경 3,830조 원)에 달하게 된다. 이는 전 세계 금 보유량 총가치인 약 30조 달러(약 4경 1,700조 원), 글로벌 증시 규모(약 110조 달러, 약 15경 2,900조 원), 그리고 전 세계 부동산 자산 총합(약 300조 달러, 약 41경 7,000조 원)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전망을 두고 과장, 비현실적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모우는 비트코인을 단순한 디지털 자산이나 금의 대안이 아닌, 세계 법정화폐 시스템 전반을 대체할 수 있는 진정한 ‘화폐의 진화’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흔들림 없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는 “비트코인은 달러와 유로, 스위스프랑, 페소 등 모든 기존 화폐를 대체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고 강조하며, 자신이 제시한 가격이 결코 ‘터무니없는 공상’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이미 10만 달러(약 1억 3,900만 원)를 상회하고 있는 만큼, 그의 예측이 완전히 불가능하다고 단정짓기엔 이르다. 특히 기관투자자 유입, 전 세계 인플레이션 압력, 그리고 미 대선 등 다양한 거시 요인들이 맞물리며 장기적인 상승세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많아지고 있다.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모우의 발언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는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100만 달러 도달 시 곧바로 다음 목표를 제시하겠다”고 못 박아, 그 자신감과 확신을 다시 한 번 보여줬다. 그의 발언이 실제로 실현될지 여부는 미지수지만, 최소한 비트코인에 대한 시장의 관심을 다시금 최고조로 끌어올리는 데는 분명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