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138] 미국 고용 쇼크발 금리 인하 기대감, 비트코인 11만5천달러 돌파와 알파 투자 전략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미국 8월 비농업 일자리가 예상치 7만5천개를 크게 밑도는 2만2천개 증가에 그치고 지난 1년간 일자리 수가 91만개 하향 조정되면서 9월 FOMC 금리 인하 확률이 90%를 넘어서는 가운데, BTC가 11만5천달러를 돌파하며 ETH ETF에 2억3200만달러 순유입을 기록했지만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선택과 집중 투자 전략이 중요한 시점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팟캐스트 Ep.138] 미국 고용 쇼크발 금리 인하 기대감, 비트코인 11만5천달러 돌파와 알파 투자 전략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은 지난 한 주 그러니까 9월 7일부터 14일까지 시장을 뜨겁게 달궜던 이슈들을 좀 깊게 파보려고 합니다. 알레아 리서치 자료를 바탕으로 할 건데요. 특히 미국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훨씬 약하게 나오면서 와 이거 연준이 금리 내리는 거 아니야? 이런 기대감이 확 커졌죠. BTC 가격이 11만 5천 달러를 넘기도 하고 아주 흥미로운 한 주였습니다. 그래서 오늘 이 자료 보면서 지금 시장 어떻게 봐야 할지 또 기회는 어디에 있을지 그리고 또 뭘 조심해야 할지 이런 것들 명확하게 짚어보겠습니다. 바로 시작하죠. 자 먼저 그 거시경제 상황부터 좀 볼까요? 이번 주 시장 분위기를 그냥 확 바꾼 게 바로 미국 고용지표였잖아요. 8월 비농업 일자리가 예상치를 뭐 엄청나게 밑돌고 실업률도 꽤 올랐다고요. 정말 예상 밖이었는데.

진행자

네 맞습니다. 이게 시장에 좀 충격이 상당했어요. 8월 일자리 증가 폭이 2만 2천 개였는데 시장에서는 한 7만 5천 개 정도 예상했거든요. 그런데 훨씬 밑돈 거죠. 이게 거의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예요. 실업률도 4.3%까지 올라서 이건 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구요. 그런데 이걸 그냥 아 통계가 좀 잘못 나왔나 이렇게 보기 어려운 이유가 또 있어요. 미국 노동통계국 BLS라고 하죠. 여기서 지난 1년간 일자리 수를 무려 91만 개나 낮춰 잡았어요. 하향 조정한 거죠.

토큰포스트

91만 개요 엄청나네요.

진행자

네, 이게 연간 기준으로 보면 역대 최대 수정치입니다. 그러니까 2009년 금융위기 때보다 더 많이 조정한 거예요. 그만큼 아, 고용시장 둔화가 생각보다 심각할 수 있겠구나. 이런 강력한 신호로 다들 받아들이는 거죠.

토큰포스트

야 91만 개 하향 조정이라니 진짜 충격적인데요. 고용이 이렇게 확실히 좀 식어가는 신호를 보내는데 그럼 인플레이션 쪽은 어땠나요? 물가지표는 그래도 좀 괜찮았다고 들었거든요.

진행자

네, 그 부분이 또 되게 흥미로운 지점인데요. 8월 생산자물가지수 PPI라고 하죠. 이게 오히려 전월 대비 0.1% 떨어졌어요. 시장은 한 0.3% 오를 걸로 봤는데 완전히 예상을 깬 거죠. 변동성 큰 거 뺀 근원 PPI도 0.1% 하락했고요.

토큰포스트

오히려 떨어졌군요.

진행자

네, 그리고 소비자물가지수 CPI는 전년 대비 2.9% 상승, 근원 CPI는 3.1% 상승 이건 다 예상한 수준으로 나왔습니다.

토큰포스트

아 그럼 정리를 좀 해보면 인플레이션 압력은 뭐 약간 누그러지는 추세인 것 같고, 고용 시장은 훨씬 더 빠르게 식고 있다. 이런 거네요.

진행자

정확합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인플레이션보다는 아 이거 고용이 너무 안 좋아지는 거 아닌가 이쪽 리스크로 완전히 무게중심이 옮겨갔다고 봐야죠.

토큰포스트

그래서 시장은 이제 9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 내릴 가능성 이거 거의 90% 이상이다. 이렇게 보는 거군요. 뭐냐? 나쁜 소식. 그러니까 고용 악화가 오히려 좋은 소식 금리 인하 기대로 이어지는 그런 상황.

진행자

네, 딱 그 상황입니다. 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이거 거의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이고 있어요. 인하 확률이 90%를 훌쩍 넘었고요. 심지어 일부에서는 야 이거 50BP 내리는 거 아니냐 이런 공격적인 전망까지 나올 정도니까요.

토큰포스트

대폭표 와

진행자

이런 기대감 때문에 위험 자산들은 오르고 달러 지수 DXY는 약세를 보이고 있죠. 그런데 여기서 좀 주목할 만한 게 시장 참여자들 심리 변화예요. 예전에는 좀 신중했다면, 이제는 자신감, 아니 어쩌면 약간 과신에 가까운 분위기까지 느껴진다는 겁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자신감 내지는 과신이라. 그럼 이런 거시적인 분위기 변화가 우리 암호화폐 시장에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났나요? BTC가 11만 5천 달러 찍었다는 뉴스도 있었고, 반응이 꽤 뜨거웠던 것 같은데요.

진행자

네, 시장 전반적으로 온기가 확 돌았습니다. BTC가 앞장서고 ETH나 SOL같은 주요 자산들이 뒤따라 오르는 모습이었죠. 특히 좀 눈여겨볼 만한 게 현물 ETF 자금 흐름이 아주 극적으로 바뀌었어요.

토큰포스트

아 ETF 자금이요.

진행자

네, 지난주에 ETH 현물 ETF에서 7억 8800만 달러 이거 거의 기록적인 순유출이었거든요. 그런데 이번 주에는 반대로 2억 3200만 달러가 순유입됐습니다. 확 돌아선 거죠.

토큰포스트

와 완전 반전이네요.

진행자

그리고 BTC 현물 ETF는 더 강했어요. 한 주 동안 무려 16억 달러가 순유입됐습니다. 지난주 유입액이 한 2억 5천만 달러였으니까 엄청나게 늘어난 거죠. 이런 자금 흐름이 시장 상승을 이끈 중요한 힘이 됐다고 봐야 합니다.

토큰포스트

ETF 자금 흐름이 진짜 드라마틱하게 변했네요. 그런데 또 흥미로운 게 이렇게 시장 분위기는 막 달아오르는데 정작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히려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이런 분석이 있더라고요. 구글 트렌드에서 비트코인 검색량이 엄청 낮다고요.

진행자

맞습니다. 그게 참 아이러니한 부분이죠. 비트코인 구글 검색량이요. 2024년에 현물 ETF 출시된 이후로 보면 지금이 거의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어요.

토큰포스트

진짜요

진행자

네 그리고 공포 앤 탐욕 지수, 그 Fear and Greed Index 있잖아요. 그것도 비슷한 얘기를 하고 있어요. BTC 가격이 고점 대비 그렇게 많이 빠진 것도 아닌데 이 지수는 지난 30일 동안 26%나 하락했어요. 그래서 BTC가 사상 최고치 찍기 전보다도 더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걸 뭘 의미하냐면 개인 투자자들이 아직 시장에 대해서 상당히 좀 불안해하거나 두려워하고 있다. 이런 걸 보여주는 거죠. 물론 뭐 이걸 반대로 해석할 수도 있어요. 이렇게 개인들 관심이 낮고 공포 심리가 높을 때가 오히려 장기 투자자한테는 매력적인 진입 시점일 수 있다. 뭐 이런 해석도 가능하죠.

토큰포스트

개인들 심리는 아직 좀 차갑다 이런 거군요. 알겠습니다. 자 그럼 이런 상황에서 알레아 리서치가 제시하는 핵심 투자 전략은 뭔가요? 제가 듣기로는 무조건 다 사자. 이게 아니라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 이렇게 강조했다던데요.

진행자

네, 그게 핵심입니다. 지금은 시장 전체가 그냥 다 같이 오르는 거. 이걸 베타 투자라고 하잖아요. 이런 거에 편승하기보다는 명확한 상승 이유. 그러니까 촉매제나 가치 상승 동력이 있는 특정 자산을 딱 골라서 집중하는 거. 이걸 알파 전략이라고 하는데 이게 더 유리하다는 분석입니다.

토큰포스트

알파 전략이 중요하다

진행자

네, 리서치에서는 이렇게 봐요. 가장 좋았던 매수 타이밍은 어쩌면 이미 어제였을 수 있다.

토큰포스트

어제였다.

진행자

그렇죠? 지금은 초반에 오른 거에서 일부 수익을 좀 챙기고 그 자금으로 상대적으로 덜 올랐거나 아니면 가치가 좀 더 있어 보이는 다른 자산으로 옮기는 이런 순환매 전략을 고려해 볼 때라는 거죠. 특히 BTC 도미넌스가 조금씩 약해질 조짐이 보여서 알트코인이 상대적으로 더 좋은 성과를 낼 가능성 이것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매수 시점은 어제였다. 이 표현이 되게 와닿네요.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나 자산을 좀 눈여겨봐야 할까요? 리서치에서 긍정적으로 본 예시들이 몇 개 있었던 것 같은데,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진행자

네, 몇 가지 테마로 좀 묶어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우선 주요 L1 자산들 여기서는 ETH랑 SOL이 여전히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기관 투자자나 좀 똑똑한 돈들, 이 스마트 머니 자금이 계속 들어올 걸로 예상이 되고 또 금리 인하 기대감 때문에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보는 거죠. SOL 같은 경우는 기관들이 현금 들고 매수 타이밍 보고 있다는 분석도 있었고요. 지난주에만 21%나 오르면서 아주 강한 모습을 보였죠.

토큰포스트

ETH랑 SOL

진행자

네 다음은 스테이블 코인하고 그 생태계인데요. 여기서 HYPE랑 ENA도 좀 재미있는 사례예요. 하이퍼 리퀴드의 USDH 스테이블 코인 발행 경쟁을 보면 이게 단순히 기술 경쟁이 아니라 생태계 참여자들이 얼마나 한 방향을 보고 가느냐. Alignment라고 하죠. 이 이해관계 일치가 정말 중요하다는 걸 보여줘요. HYPE가 이 경쟁의 한가운데 있고요. ENA 같은 경우는 일단 금리 인하하면 수혜를 볼 수 있고 또 자체적인 호재도 많아요. 예를 들면 수수료 스위치 활성화 가능성이라던가 바이낸스의 USDE가 상장됐는데 이게 단순 상장을 넘어서 풀스택 통합으로 갈 수도 있다. 이런 기대감. 그리고 스테이블 코인 As A Service 서비스형 스테이블 코인 모델을 확장할 수도 있다는 점 이런 것들이 추가 상승 동력이 될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특히 바이낸스랑 통합되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성장을 이끌 수도 있다. 이렇게 보고 있어요.

진행자

오 ENA 잠재력이 상당하네요. 또 다른 분야는 레이어2인데요. MNT가 눈에 띕니다. 토큰 소각이 없다고요. 보통은 호재 아닌가요?

토큰포스트

그렇죠? 그런데 이게 오히려 나중에 재평가받을 기회가 될 수 있다. 약간 이런 역설적인 분석이에요. 모회사 격인 바이빗 거래소 성장이 촉매제가 될 거고, 또 락업 풀리는 물량이 없고 34억 달러나 되는 엄청난 규모의 트레저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강점이죠. Linea는 상대적으로 FDV, 그러니까 완전 희석 가치가 낮다는 점하고 앞으로 에어드롭 같은 인센티브를 줄 가능성이 매력 포인트로 꼽혔습니다.

토큰포스트

MNT는 좀 특이한 관점이네요. 알겠습니다. 개별 알트코인들도 있었죠.

진행자

네, 개별 알트코인 서사도 중요하죠. ETHFI같은 경우는 창립자가 토큰 소각 의지가 아주 강해요. 앞으로 1년 동안 10% 이상 소각하겠다. 이런 목표를 밝혔거든요. 그리고 한국블록체인위크 KBW 기관 업데이트 상장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고요. PUMP는 이게 단순 Meme Coin이 아니에요. 틱톡이랑 로빈 후드 트위치를 합친 것 같은 소셜 트레이딩 앱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어요. 크리에이터한테 유리한 정책, 젊은 층 공략, 그리고 매일 수익의 100%를 소각하는 강력한 바이백 정책 이런 것들이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PUMP는 소셜 트레이딩 앱 흥미롭네요.

진행자

그리고 JTO는 SOL 생태계 내 스테이킹 수요가 늘어나는 거랑 또 새로운 수수료 메커니즘, JIP 17, JIP 24 이런 걸 도입하는 것에 수혜를 볼 걸로 기대되고요.

토큰포스트

마지막으로, 다른 테마들도 있었죠. RWA랑 AI 같은 걸

진행자

맞습니다. 기타 주목할 테마들인데요. RWA 실물 자산 토큰화 분야에서는 CFG가 좀 눈에 띕니다. ONDO 같은 다른 RWA 프로젝트에 비해서 FDV 대비 TVL 비율이 낮고 RWA 서밋 개최 같은 단기적인 호재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부각됐어요. AI 테마는 월드코인 WLD가 급등하고 오라클 ORCL 실적이 좋게 나올 거라는 전망 때문에 다시 좀 주목받고 있는데요. VAT나 AIOG 같은 아시아 기반 프로젝트나 RETI 같은 저시총 AI 코인 쪽으로도 관심이 퍼질 수 있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Fluid가 기관한테 인수된 것처럼 AAVE나 Pendle 같은 디파이 우량주들에 대한 기관들의 투자도 계속될 걸로 보이고요.

토큰포스트

네 와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기회를 찾고 있다는 게 느껴지네요. 그런데 리서치에서는 이렇게 긍정적인 전망만 얘기한 건 아니고 좀 주의해야 할 부분이나 다른 각도에서 봐야 할 자산들도 짚어줬잖아요. UNI나 Cardano 같은 경우 특히 차트 크라임, 차트 크라임이라고까지 표현했던 MYX 사례가 있던데요. 이건 어떤 내용인가요?

진행자

네 맞아요. 당연히 신중하게 봐야 할 부분도 있죠. UNI 같은 경우는 수수료 스위치 활성화라는 굉장히 강력한 호재가 있기는 한데 이미 시가총액이 거의 100억 달러에 가깝거든요. 그러니까 이게 더 오를 여력이 얼마나 될까? 이 부분을 좀 고려해서 전술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런 지적이고요.

토큰포스트

이미 많이 커서 그렇군요.

진행자

네, Cardano는 특정 시장에서는 가격 결정력이 강하지만 수익이 소수 고래한테 너무 집중될 수 있다는 위험하고 또 핵심 상품 재고가 부족할 수 있다는 가능성 이런 게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그리고 특히 MYX 사례는 정말 경고성으로 다뤄졌어요. 이 토큰은 현물 유동성이 거의 없는 좀 작은 거래소 위주로 상장이 되어 있는데, 바이낸스나 바이빗 같은 큰 거래소에는 선물 계약, 그러니까 퍼페츄얼만 상장이 됐어요.

토큰포스트

아 현물 없이 선물만요

진행자

네 그런데 그러면서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막 10배 이상 급등한 거예요.

토큰포스트

그게 왜 그렇게 위험한 건가요? 현물 없이 선물만 있는데, 가격이 오른다는 게

진행자

이게 굉장히 위험할 수 있는 구조인데요. 현물 시장이 얇으니까 가격을 조작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워요. 그래서 고래들이 일부러 가격을 막 끌어올린 다음에 미결제 약정 OI가 잔뜩 쌓여있는 선물 시장에서 포지션을 청산시키면서 이익을 챙기려는 시도가 아니냐 이런 의혹이 있는 거죠. 리서치에서는 이걸 차트 크라임이라고 부르면서 심지어 시빌 공격으로 에어드롭 물량을 부당하게 받은 거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합니다. 높은 펀딩 비율이나 급증한 OI 같은 게 다 전형적인 위험 신호였거든요. 그래서 이런 구조적인 위험이 있는 자산은 정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단순히 가격만 보고 들어갈 게 아니라 그 배경이나 구조를 꼭 살펴봐야 한다는 말씀이시네요. 자 그럼 오늘 내용을 종합해보면 거시환경은 분명히 위험자산에 좀 유리한 쪽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 같긴 한데 그렇다고 너무 낙관적으로만 볼 건 아니고 결국엔 어떤 자산을 고르느냐 즉 선택과 집중이 정말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네요.

진행자

네, 정확하게 보셨습니다. 연준이 좀 완화적으로 태도를 바꿀 가능성이나 달러 약세 이런 건 분명히 순풍이죠. 하지만 여전히 노동 시장이 좀 불안정한 부분이라던가 앞으로 나올 기업 실적이 어떻게 될지 같은 변수들도 남아 있어요. 그러니까 막연한 기대감보다는 실제 가치나 성장 동력에 집중하는 게 중요합니다. 떨어질 위험은 좀 제한적이면서 오를 가능성 즉 비대칭성이 큰 기회를 신중하게 찾고 또 위험관리도 철저하게 같이 해나가는 것 이게 지금 시점에서는 가장 합리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오늘 알레아 리서치 자료를 통해서 시장의 여러 신호들 또 그 이면에 숨어있는 논리들을 아주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께서도 오늘 저희가 나눈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각자의 투자 전략을 한번 점검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진행자

마지막으로, 한 가지만 더 생각할 거리를 던져드리고 싶습니다. 지금 시장을 이렇게 들뜨게 하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이게 과연 언제까지 그리고 또 어느 정도까지 현실화될 수 있을까요? 그리고 AI나 RWA 말고 시장을 이끌 다음 핵심 내러티브는 또 뭐가 될지 이런 부분들을 계속해서 고민하고 탐색하는 자세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시장은 늘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어 움직이니까요. 끊임없이 배우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겠습니다. 이상

토큰포스트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낙뢰도

19:56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낙뢰도

2025.09.15 19:56:3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