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해 35%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해 미·캐나다 간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는 자국의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일부 품목은 면제될 수 있지만, 전반적인 관세 강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캐나다 정부가 미국 IT 기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세 부과 계획을 철회한 지 불과 2주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나왔다. 캐나다의 조치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 했던 전략으로 풀이됐지만, 트럼프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의 보복관세 행보를 비판하며 고율 관세를 공식화하면서 흐름이 뒤집혔다.
그는 “캐나다가 미국과 협력하는 대신 보복성 관세를 선택했다”며, “만약 캐나다가 펜타닐 유입을 차단하는 데 협조한다면, 이번 조치에서 일부 조정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는 무역 문제에서 마약류 단속 협력을 협상 카드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는 성명을 통해 해당 관세 방침에 유감을 표하며, 이번 무역 갈등이 자국 노동자와 기업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오는 8월 1일 이전까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의미 있는 타협점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캐나다에 국한되지 않는다. 트럼프는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대부분의 주요 무역 파트너에게 현행 10% 수준에서 최대 20%까지 관세를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남은 국가들에게는 15%든 20%든 모두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며 전면적인 통상 압박 전환을 예고했다.
백악관은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미국 내에서는 이를 두고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다시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 무역 전략이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에 또 다른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오는 8월 1일을 전후해 미·캐나다 간 추가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지만, 트럼프 특유의 ‘협상 압박’ 전술이 다시 한 번 통상 질서 전반을 흔드는 파장을 불러올 공산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