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미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 추가 투자를 결정하면서, 관련 산업군의 국내 주식 시장에서도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특히 전력설비 업종을 중심으로 주가가 동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9일 오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력기기 제조 기업 LS일렉트릭은 이날 오전 9시 12분 기준으로 전 거래일 대비 2.65% 오른 29만1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1.42%), 제일일렉트릭(1.01%), 효성중공업(3.01%) 등 주요 기업들도 일제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흐름이 구글의 최근 데이터센터 투자 발표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투자 계획은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내년까지 미국 버지니아주에 약 90억 달러(한화 약 12조5천억 원)를 쏟아 붓겠다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인공지능(AI) 인프라 개선에 사용될 계획이다.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최근 핵심 인프라로 떠오르고 있는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력기기와 같은 핵심 설비의 수요도 덩달아 늘어날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버지니아 북부 지역은 미국 내 '데이터센터 앨리(골목)'로 불리는 곳으로, 2000년대 초 클라우드 산업 태동기부터 투자 집중이 이루어져 왔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술 대기업들도 이 지역에 핵심 시설을 두고 있으며, 이번 구글의 결정은 이 흐름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인공지능 서비스가 확산됨에 따라 전력 소비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투자는 전력 인프라 확충과 관련 업계의 수익 확대 가능성을 동시에 시사한다.
국내 전력기기 기업들은 해외 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고압변압기, 개폐기, 전력반도체 등을 수출하거나 부품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데이터센터 투자는 전반적인 산업 수요 상승으로 직결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전력 소비를 동반하는 AI 인프라 전환은 이들 업종에 구조적인 수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흐름은 단기적인 주가 반응을 넘어서, 향후 글로벌 기술기업의 인프라 투자가 지속될 경우 국내 전력기기 산업 전반에 장기적인 성장 기대를 심어줄 가능성이 있다. 동시에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전략, 스마트그리드 구축 등과 맞물려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