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금융전문가 48% "내년 비트코인 수익률, S&P500 넘을 것"

프로필
도요한 기자
댓글 9
좋아요 비화설화 0
 금융전문가 48%

내년 비트코인 수익률이 미국 S&P500 지수를 넘어설 것이라는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설문조사는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은행, 금융업계, 규제당국 관계자 등 금융 전문가 35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48%는 내년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자산은 비트코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암호화폐에 친화적이지 않은 기존 금융권 관계자들이 비트코인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미국 S&P500지수가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30%에 달했다. S&P500 지수는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가 기업규모·유동성·산업대표성을 감안해 선정한 500개 종목을 대상으로 발표하는 주가지수다.

이어 블룸버그 바클레이즈 채권 지수 등 '고정 수익'을 선택한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의 13%, 주택가격지수(HPI)를 선택한 응답자는 5%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투자에 주저하는 주된 이유로 규제 관련 우려(57%)를 꼽았다.

세부적으로, 응답자의 39%는 자금세탁, 마약 구입, 테러자금 조달 등 퍼블릭 블록체인 상에서 이뤄지는 불법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방지해야하는 어려움을 지적했다. 나머지 18%는 암호화폐 관련 규정을 준수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한편, 이번 설문에서 응답자의 70%는 향후 5~10년 내로 글로벌 디지털화폐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자의 3분의 1은 미국이 디지털화폐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답한 반면, 21%는 중국이 이를 주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마이클 그로나저(Michael Gronager) 체이널리시스 CEO는 "대다수 금융 전문가들은 암호화폐가 엄청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면서 "다만 기관들은 암호화폐가 가진 투자 리스크에 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큰포스트 |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9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9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mopxy

2019.11.13 09:41:41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4
0

이전 답글 더보기

학동또디

2019.11.13 09:12:55

감사

답글달기

0

4
0

이전 답글 더보기

S스니

2019.11.13 08:43:12

고맙습니다

답글달기

0

3
0

이전 답글 더보기

구리구리

2019.11.13 05:36:4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4
0

이전 답글 더보기

젤로는천사

2019.11.12 22:27:36

엄선된 뉴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4
0

이전 답글 더보기

dejavu

2019.11.12 18:26:59

내년에 좀 보자

답글달기

0

4
0

이전 답글 더보기

marrey

2019.11.12 16:44:4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4
0

이전 답글 더보기

raonbit

2019.11.12 13:27:04

금융전문가들은 내년에는 비트코인이 상승 전환할 것으로 예상하여 비트코인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고 생각되네요.

답글달기

0

6
0

이전 답글 더보기

CEDA

2019.11.12 12:17:54

설문에서 흥미로운 것은 70%가 글로벌 디지털화폐 등장을 예상하고 있다는 사실이고, 미국과 중국 중 주도권을 가져갈 국가는 아직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군요.

답글달기

0

6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