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금융감독청(FCA)이 암호화폐 거래소, 대출, 스테이킹 등 핵심 활동에 대한 규제를 앞두고 업계와 전문가로부터 공식 의견을 받고 있다.FCA는 명확한 규제가 혁신과 성장을 동시에 가능케 할 수 있으며, 2026년 전면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2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영국 금융감독청(FCA)은 암호화폐 관련 규제 도입을 위한 로드맵의 일환으로, 거래 플랫폼, 중개 서비스, 대출 및 차입, 스테이킹, 디파이(DeFi) 등의 분야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논의 문서를 발표했다. 이번 논의는 관련 법률이 본격 시행되기 전 단계로, 개인, 기업, 학계, 정책 기관, 싱크탱크 등 폭넓은 주체들의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FCA는 “명확한 암호화폐 규제는 시장의 신뢰를 높이고, 혁신을 가능하게 하며,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할 것”이라며, ‘현재 규제되지 않은 영역이 많기 때문에 시장 건전성과 소비자 보호를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FCA 결제 및 디지털금융 담당 이사 데이비드 길(David Geale)은 “업계가 안전하게 혁신할 수 있도록 명확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우리가 올바른 균형점을 찾고 있는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영국 재무부(HM Treasury)의 입법 초안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해당 법률이 시행되면 암호화폐 관련 핵심 활동들이 FCA의 감독 대상에 포함된다. 해당 논의에 대한 피드백은 6월 13일까지 접수되며, 이후 공식 규제안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FCA는 앞서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보관, 시장 조작, 공시, 건전성 기준 등에 대해서도 논의 문서를 발행한 바 있다.
영국은 2020년 자금세탁 방지 규제를 시작으로 2021년에는 개인 투자자 대상 암호화폐 파생상품 판매 금지, 2023년에는 금융 광고 규제 확대 등 단계적 접근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테이킹이 집합투자 규정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히며 일부 유연한 해석도 적용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력을 강조하며, 유럽연합(EU)의 강경 기조와는 차별화된 접근을 취하고 있다. 영국 재무장관 레이첼 리브스(Rachel Reeves)는 최근 연설에서 “디지털 자산 부문에서 영국이 세계 선두로 나아가려면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와의 협의를 통해 디지털 자산 혁신을 공동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