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리플 공동창립자 크리스 라센, 5,000만 XRP 이동…대규모 매도 우려 확산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리플 공동 창립자 크리스 라센이 최근 5,000만 XRP를 이동시키며 대규모 매도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중 4,000만 XRP가 중앙화 거래소로 유입된 정황들이 포착됐다.

 리플 공동창립자 크리스 라센, 5,000만 XRP 이동…대규모 매도 우려 확산 / TokenPost.ai

리플 공동창립자 크리스 라센, 5,000만 XRP 이동…대규모 매도 우려 확산 / TokenPost.ai

리플 공동 창립자 크리스 라센이 최근 대규모 XRP 이전을 단행하며 시장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7월 17일부터 23일 사이 라센 관련 주소에서 총 5,000만 XRP(약 2,432억 5,000만 원)가 다른 지갑으로 이동되었으며, 이 중 약 4,000만 XRP(약 1,946억 원)가 중앙화 거래소로 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이동은 특히 XRP 가격이 최근 고점인 3.60달러에서 3.10달러 아래로 17% 하락한 시점과 맞물리며 매도 가능성을 둘러싼 논란도 함께 불거졌다.

해당 트랜잭션은 온체인 데이터 분석가 자크XBT(ZachXBT)에 의해 포착됐다. 사전에 알려지지 않은 다섯 개의 지갑 중 두 지갑이 각각 3,000만 XRP, 한 지갑이 1,000만 XRP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고, 나머지 1,000만 XRP는 500만 XRP씩 두 개의 신규 지갑으로 분산됐다. 이전된 XRP의 상당수가 거래소에서 포착된 점에서 대규모 매도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XRP 보유량 측면에서도 크리스 라센의 영향력은 상당하다. 현재 그의 주소에는 약 28억 1,000만 XRP가 남아 있으며, 이는 전체 XRP의 약 5%에 해당하는 규모다. 보유 자산만 환산해도 약 1조 1,676억 원이 넘어간다. 이런 상황에서의 대규모 이동은 XRP 생태계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거래소 측 동향도 주목된다. 블록체인 모니터링 서비스 웨일알럿(Whale Alert)의 데이터에 따르면, 어제 하루 코인베이스로 1,680만 XRP(약 810억 원)가 이체됐으며, 최근 24시간 누적으론 약 4,400만 XRP(약 2,123억 원) 이상이 동일 거래소로 유입됐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 매도를 위한 자금 대기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을 뒷받침한다.

단, 일부 전문가는 이번 XRP 가격 조정이 단기 조정에 불과하며, 오히려 추후 상승세를 위한 '웨이브 4' 구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XRP는 현재 3.15달러에서 거래 중이며, 향후 2.64달러대까지 조정보다 반등을 위한 지지선이 형성되는 구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커뮤니티 내에서는 크리스 라센의 행동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충성도 높은 보유자에게 등을 돌린 것이란 비판도 존재하지만, 장기 보유자를 위한 토큰 분산 조치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도 팽팽히 맞서고 있다. 과연 이번 대규모 XRP 이동이 단발성 자금 재조정인지, 혹은 시장의 매도 신호로 이어질지는 앞으로의 트랜잭션 추적 결과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7.25 00:09:2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7.25 00:01:5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