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세계 주요 암호화폐 언론사의 1티어 영업 담당자라면 자신의 이름을 도용한 사기 계정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텔레그램, X(구 트위터), 링크드인 등에서 언론사 이름을 차용해 접근한 뒤 실제 결제 단계에서 개인 USDT 지갑 주소를 제시하는 수법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최근 수개월간 이 같은 사칭 사례가 다수 접수됐으며 그 수법은 점점 정교해지고 있다. 2025년 10월에는 'Tobias Vilkenson | Cointelegraph'라는 이름의 텔레그램 계정이 BNB 체인에 접촉해 인터뷰를 제안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이 계정은 팔로워 수 6,000명 이상의 X 계정 링크도 함께 제시하며 신뢰를 꾀했다.
이러한 방식은 전형적인 언론사 사칭 범죄 수법이다. 유명 매체의 신뢰도를 빌미로 자연스럽게 DM(다이렉트 메시지)로 유도하고, 이후에는 외부 지갑 주소로 결제를 요구하는 형태다. 피해 기업은 실제 보도에 대한 기대감으로 해당 계정의 정체를 충분히 검증하지 않은 채 사기에 노출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사칭 사태가 점차 일상화되고 있다며 “기업들은 공식 이메일 및 도메인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예치에 앞서 취재 사실 여부를 매체 본사로 2차 검증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내세우거나 관련 키워드를 활용하는 수법까지 등장, 언뜻 보기엔 실제 뉴스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어 더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