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금융 대기업이자 리플(Ripple)의 오랜 파트너인 SBI홀딩스가 XRP 채택 가속화를 목표로 한 최초의 기관용 XRP 트레저리에 2억 달러(약 2,780억 원)를 투자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XRP 생태계 확장에 중대한 전환점을 예고한다.
SBI홀딩스 요시타카 키타오(Yoshitaka Kitao) 회장 겸 CEO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보도자료를 공유하며, XRP 전문 운용사 에버노스(Evernorth)의 프라이빗 플레이스먼트에 리플 및 기타 투자자들과 함께 참여했다고 밝혔다. 키타오 회장은 해당 트윗에서 “XRP 트레저리 사업은 전 세계 시가총액 기준 XRP 최대 규모 보유체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에버노스는 이번 펀딩을 포함해 총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이상을 조달할 계획이며, 이 자금은 오픈마켓에서 XRP를 매입하고 기관대출, 탈중앙금융(DeFi) 등 다양한 전략으로 XRP 자산가치를 능동적으로 운용하는 데 활용된다.
SBI는 XRP의 실사용 확대에 오랜 기간 집중해 왔으며, 리플과의 합작사인 SBI 리플 아시아 설립 등 아시아 시장 중심으로 XRP 실용화를 추진해왔다. 이번 투자는 단순 보유에 그쳤던 암호화폐 투자 방식에서 벗어나, 제도권 주도의 트레저리 모델을 시도하는 선례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XRP레저(XRPL)는 최근 브레일(Brale)과의 기술 통합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발행 기능을 강화했다. 브레일은 자체 API를 통해 기업들이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쉽게 발행·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번 통합으로 RLUSD(리플의 USD 연동 스테이블코인)의 XRPL 및 이더리움(ETH) 상에서의 결제 기능도 동시에 지원한다.
이 같은 제도금융권 참여 확대와 인프라 고도화는 XRP 생태계를 다시 중심 무대로 떠올릴 수 있는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에버노스와 SBI의 행보는 XRP의 미래 전략에 중요한 분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