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사설] 한국은 논의 중, 미국은 수익 중 — 금융 패권의 무게는 이미 디지털로 기울었다

댓글 5
좋아요 비화설화 6

미국은 코인베이스의 4억 달러 순이익과 스테이블코인 법제화로 ‘수익과 제도’를 확보한 반면, 한국은 여전히 논의에 머물며 금융 패권의 중심 이동을 지켜보고 있다.

 디지털 금융 패권이 이동하는 시대, 한국은 여전히 높은 규제의 성벽 안에 머물러 있다 / 토큰포스트 일러스트

디지털 금융 패권이 이동하는 시대, 한국은 여전히 높은 규제의 성벽 안에 머물러 있다 / 토큰포스트 일러스트

미국의 암호화폐 기업들이 숫자로 말하고 있다. 코인베이스(Coinbase)는 올해 3분기 매출 18억 7천만 달러, 순이익 4억 3천만 달러, 전년 대비 55% 증가를 기록했다. 거래수익은 10억 5천만 달러, 구독·서비스 수익은 7억 4천만 달러, 그중 스테이블코인 운용 수익만 3억 5천만 달러에 달했다. 한때 ‘비트코인 거래소’라 불리던 회사가 이제는 금융 인프라를 공급하는 수익 기반 금융기관으로 변모했다.

이 흐름은 코인베이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USDC 발행사 서클(Circle Internet Group)의 시가총액은 10월 현재 약 358억 달러, 이미 중견 은행의 수준을 넘어섰다. 제미니(Gemini) 거래소는 9월 나스닥 상장을 통해 기업가치 약 33억 달러로 평가받았고, 피겨(Figure Technologies)는 7억 8천5백만 달러를 조달해 53억 달러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202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투기’로 불리던 산업이 이제 자본시장의 주류가 되어가고 있다.

이 모든 변화의 뒤에는 명확한 제도적 전환이 있다. 미국은 7월 18일, GENIUS Act를 통과시켜 스테이블코인을 공식적으로 연방 차원의 금융상품으로 인정했다. 이 법은 연준(Federal Reserve), 재무부, FDIC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스테이블코인 인증심사위원회’를 설치해, 비은행 기업도 만장일치 승인 시 발행 가능하도록 했다. 즉, 미국은 “금융의 혁신을 금지하는 대신, 제도 안에서 설계하겠다”는 길을 선택했다. 위험을 이유로 금지하지 않고, 위험을 관리 가능한 제도권 안으로 편입시킨 것이다.

그 상징적 장면이 지난 10월 21일 워싱턴 D.C. 연준 본부에서 열린 ‘Payments Innovation Conference’였다. 연준은 스테이블코인, 자산 토큰화(RWA), 인공지능 결제망을 핵심 주제로 논의했고, 블록체인 기업 대표들이 직접 패널에 참여했다. 이제 디지털 자산은 ‘금융의 주변부’가 아니라, 결제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 논의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의 회의장 한가운데에서 블록체인과 AI 결제 기술이 거론된다는 사실 자체가 패러다임 전환의 현실화를 의미한다.

반면 한국의 논의는 여전히 제자리다. 한국은행의 10월 보고서 「디지털 시대의 화폐, 혁신과 신뢰의 조화」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화폐대용재’로 규정하며 발행을 은행 중심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은행 발행은 금산분리 원칙 훼손으로 간주하고, 상환은 “민간 간의 사적 계약”에 불과하다고 정의했다. 결국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시스템 안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통화질서를 위협할 변수로 바라보고 있다. 한국은 “혁신을 통제하는 방식”을 택했고, 미국은 “혁신을 관리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그 철학의 차이가 결과의 속도를 갈랐다.

이제 금융의 중심축은 뉴욕증권거래소 안에서 디지털로 재편되고 있다. 코인베이스와 서클, 제미니, 스트레티지, 피겨는 각자의 방식으로 블록체인 기반 금융 생태계를 만들고 있고, 연준은 공공부문에서 이를 제도적으로 연결하기 시작했다. 이건 더 이상 ‘실험’이 아니라 산업 구조의 지각 변동이다.

한국이 계속 안정만을 논하며 시간을 보낸다면, 금융의 중심은 완전히 해외로 이동할 것이다. 안정은 중요하지만, 기회 없는 안정은 쇠퇴의 다른 이름이다. 지금 필요한 질문은 “언제 허용할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안전하게 관리하며 함께 성장할 것인가”다.

코인베이스의 4억 달러 순이익, 서클의 358억 달러 시가총액, 제미니와 피겨의 상장, 그리고 연준의 디지털 자산 컨퍼런스— 이 모든 수치와 사건은 같은 말을 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은 이미 금융의 일부이며, 그 무게는 월스트리트에서 블록체인으로 기울고 있다. 한국은 논의 중이고, 미국은 수익 중이다. 그리고 그 차이는 더 이상 논쟁이 아니라 결과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5

추천

6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6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StarB

17:53

등급

JOON0531

17:32

등급

바다거북이

16:29

등급

jini365

15:26

댓글 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tarB

2025.11.01 17:53:1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OON0531

2025.11.01 17:32:1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5.11.01 16:29:3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이순신

2025.11.01 14:56:4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11.01 14:51:3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