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피터시프, 비트코인 디지털금 아니다 주장

작성자 이미지
김미래 기자
1
3

피터 시프는 비트코인이 금과 전혀 다르다고 주장하며 최근 가격 흐름을 근거로 디지털 금 개념을 부정했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희소성과 채굴 구조 등에서 금과 유사한 특성을 설계적으로 구현한 자산이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여전히 금을 대체할 디지털 자산으로서 유효하다고 본다.

피터시프, 비트코인 디지털금 아니다 주장 / 셔터스톡

피터 시프가 비트코인은 금과 달리 아무런 내재 가치가 없다고 주장하며 디지털 금 논쟁에 다시 불을 지폈다.

11일(현지시간)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유로 퍼시픽 캐피털(Euro Pacific Capital) 창립자이자 수석 전략가인 피터 시프는 주말 동안 금이 3% 상승한 반면, 비트코인은 평균 3% 하락했다며 이를 디지털 금 개념을 부정하는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독자들에게 스스로 결론을 내리라며 직접적인 해석을 피했지만, 암시적으로 비트코인이 금의 대안이 될 수 없음을 강조했다.

하지만 비트코인을 금에 비유하는 것은 단순한 유추이며, 이를 실물 금과 혼동하는 시프의 태도는 오히려 논점을 흐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토시 나카모토는 2008년 발표한 백서에서 ‘비트코인의 일정한 신규 발행은 금 채굴과 유사하며, 이는 CPU 시간과 전력 소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명시했다. 이는 비트코인의 공급 메커니즘이 금과 마찬가지로 자원의 소비를 통해 희소성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아날로지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시프는 이어 '금은 100% 내재 가치, 비트코인은 100% 신뢰'라고 주장했지만, 현대 경제학에서 금 역시 희소성, 내구성, 대체 가능성, 화학적 특성 등 조건에 의해 금융 자산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들은 모두 비트코인의 설계에도 반영돼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자유롭고 공개적으로 작동하는 비트코인은 국경을 초월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점점 인식되고 있다.

또한 금은 중앙은행의 통화 남발에 대한 전통적 회피 수단으로 여겨졌지만, 비트코인은 최근 수년간 이러한 역할을 일부 대체하며 인플레이션 해지 수단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실제로 투자 성과 측면에서 비트코인은 장기적으로 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시점도 많아,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서의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1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5.12 10:11:4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