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의 민감한 심리 흐름을 보다 신속히 탐지하려는 트레이더 사이에서 최근 그로크(Grok)의 활용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그로크는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설립한 인공지능 기업 xAI가 개발한 대화형 AI 모델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엑스(X)의 대중 정서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존 트레이더들은 뉴스 속보, 인플루언서 게시물, 디스코드 거래 채널 등에 의존해 시장 흐름을 파악하곤 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식은 정보 전달의 지연이나 사회적 편향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특히 밈코인 같은 고변동성 자산의 경우, 몇 분간의 지체만으로도 수익 기회를 놓치기 쉽다.
그로크는 X의 실시간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읽어들일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 AI는 특정 토큰에 대한 급격한 언급 증가, 감정 키워드의 집중 출현 등을 수천 개의 게시물에서 찾아내며, 전통적인 차트 기반 도구와 달리 대중의 정서 변화 및 군중 담론의 전환점을 탐지하는 데 탁월하다.
실제로 어떤 개발자는 그로크를 활용해 FLOKI에 대한 검증된 계정들의 반복 언급이 가격 상승 직전에 급증한 것을 포착했다는 사례를 공유했다. 이 같은 실험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밈코인과 알트코인 관련 정서 분석이 단기 매매에 유효한 신호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로크는 단독으로 매매 전략을 실행하지는 않는다. 차트를 해석하거나 위험을 관리하는 기능도 없다. 대신, 이를 ChatGPT와 같은 AI 플랫폼과 연계해 전략을 설계하거나 자동화 로직을 구성하는 데 보조 도구로 활용하는 방식이 널리 쓰이고 있다. 요컨대, 그로크는 의사결정을 돕는 센티먼트 보조 AI로, 인간 트레이더의 시장 인식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 AI 기술이 시장에서 어떤 실효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사례로, 지난 3월 13일 일론 머스크가 페페 더 프로그(Pepe the Frog) 밈을 X에 게시한 이후, 페페(PEPE) 암호화폐의 가격은 12.2% 급등하며 0.000009달러(약 0.013원)를 돌파했다는 점이 있다. 물론 단순한 시간 상의 일치일 뿐 명확한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는 없지만, SNS 밈과 가격 반응 사이의 잠재적 연계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다.
이 같은 흐름은 전통적인 트레이딩 채널이나 텔레그램 시그널이 포착했을 때에는 이미 진입 기회가 사라진 후였다. 그로크는 바로 이 '지연된 반응'이라는 시장의 맹점을 보완해주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트레이더 입장에서, 특히 밈코인이나 고위험 알트코인 거래에서 중요한 것은 ‘왜’ 오르는가보다 ‘누가 지금 그것에 대해 말하고 있는가’다. 그리고 그로크는 이 질문에 빠르고 정교하게 답할 수 있는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