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파생상품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 8월 30일 기준, Coinglass가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XRP 파생상품 거래량은 하루 만에 30.36% 급등하며 90억 달러(약 12조 5,100억 원)를 기록했고, 미결제약정도 79억 9,000만 달러(약 11조 1,460억 원)로 3.03% 상승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적극적으로 거래에 나서고 있음을 반영한다.
옵션 거래 부문에서는 단기 거래 규모가 소폭 줄며 1.54% 하락한 3,740달러(약 520만 원)를 기록했지만, 반대로 옵션 미결제약정은 20.56% 늘어난 124만 달러(약 17억 2,360만 원)에 이르렀다. 이는 트레이더들이 당장의 거래보다는 중장기적 상승 가능성에 베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가격 지표는 그다지 낙관적이지 않다. XRP는 기술적 분석상 불안정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3시간 차트 기준 볼린저밴드가 크게 확장되며 극심한 변동성을 시사하고 있다. 실제 XRP는 하단 밴드를 시험하며 2.85달러(약 3,960원) 선까지 하락했으며, 이는 강한 매도압력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침체 국면의 중심에는 3달러(약 4,170원) 지지선 이탈이 있다. 해당 가격대 붕괴 후, 투자자들은 빠르게 포지션을 정리했으며 이는 추가 하락 가능성을 키웠다. 전반적인 시장 심리는 신중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보수적 접근이 우세한 상황이다.
전설적인 트레이더 피터 브란트(Peter Brandt) 또한 XRP의 차트에 대해 비관적 견해를 밝혔다. 그는 XRP가 하락 삼각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지지 수준 붕괴 시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형적인 약세 신호라고 진단했다. 브란트는 “차트상 XRP의 흐름은 매우 부정적으로 보인다”며 경고성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파생상품 거래 증가세가 반등의 신호탄이 될지, 혹은 하방 압력 속 ‘마지막 반등’에 불과한지는 향후 며칠간의 시세 흐름과 지원선 방어 여부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2.8~3달러(약 3,900원~4,170원) 구간의 가격 반응이 향후 시장의 중기 방향성을 가르는 핵심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