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애플 아이폰에 '25% 관세폭탄' 경고…미국 생산 압박 수위↑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2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외 생산 아이폰에 최소 25% 관세를 경고하며 애플의 미국 내 생산을 강하게 압박했다. 애플 주가는 하락했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애플 아이폰에 '25% 관세폭탄' 경고…미국 생산 압박 수위↑ / TokenPost Ai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아이폰 제조에 대한 강경한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미국 외 국가에서 생산된 아이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며,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기지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본인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에 “나는 오래전부터 팀 쿡 애플 CEO에게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 내에서 제조돼야 한다고 분명히 말했다”며 “만약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미국에 납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발언 직후 애플(AAPL) 주가는 장 전 거래에서 약 3% 하락하며 추가 약세를 보였다.

이번 발언은 애플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인도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가운데 나왔다. 현재 중국은 미국의 교역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수입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 애플은 그동안 스마트폰과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 관세 면제를 적용받아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면제 조치에도 불만을 표하며 자국 생산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대해 웨드부시증권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트럼프의 관세 계획이 현실화될 경우, 아이폰은 대당 약 3,500달러(약 504만 원)에 달할 것”이라며 “그 가격은 소비자들에게 사실상 비현실적인 수치”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이 같은 가격 구조는 애플이 ‘쿠퍼티노 전략’을 근본적으로 뒤엎게 되는 셈”이라고 평가했다.

애플 주가는 올 들어 약 20% 하락하면서 ‘매그니피션트 세븐’ 기업 중 올해 가장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까지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던 테슬라(TSLA)는 연초 이후 16% 하락에 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여러 차례 애플의 해외 생산 확대 계획에 제동을 걸며, 주요 제조 품목을 미국 본토로 되돌릴 것을 강하게 요구해 왔다. 이번 발언 역시 자국 내 제조업 복원과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압박 수위를 끌어올린 사례로 평가된다.

다만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애플 같은 기술 대기업이 현실적으로 미국 내 생산으로 즉각 회귀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고비용, 숙련 인력 부족, 생산 인프라 등 복합적 제약 요인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애플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 또 이에 따라 글로벌 IT 공급망 전략이 어떻게 흔들릴지는 향후 시장의 이목이 집중될 변수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00:30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