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차세대 2나노미터(㎚) 반도체 기술의 양산을 앞두고 시험생산에서 수율 60%를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이 수치가 빠르게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해당 기술이 적용될 제품도 구체화되고 있다.
대만 현지 언론은 8월 29일 보도를 통해, TSMC가 북부 신주과학단지 내 바오산 20공장과 남부 가오슝 22공장에서 2나노 시험 생산을 진행한 결과 수율이 60%에 도달했다고 전했다. 수율은 생산된 반도체 중 양품의 비율을 뜻하며,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초기 생산 단계에서는 60%대 수율도 매우 고무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소식통에 따르면, 올 4분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이 시작되면 수율은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TSMC는 지난 4월부터 고객사의 2나노 제품 주문을 접수하기 시작했으며, 오는 연말까지 월간 생산량을 4만5천~5만 장 수준으로 계획하고 있다. 중장기적 계획에 따르면, 2026년에는 생산량이 월 10만 장, 2028년에는 미국 애리조나 신규 공장이 가동되면서 최대 20만 장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웨이퍼 한 장당 가격은 약 3만 달러, 한화로 약 4천만 원에 달해 경제적 파급력도 상당하다.
눈에 띄는 점은 글로벌 IT기업 애플이 2나노 초기 생산설비의 절반가량을 이미 예약했다는 사실이다. 애플은 이 반도체를 내년 9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 18 시리즈에 탑재할 신규 칩셋인 A20, A20 프로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본격적인 제품 상용화를 뜻하며, 2나노 기술이 향후 모바일 칩 성능 개선의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TSMC는 더 진보된 기술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바오산 공장 내 제3, 제4공장에서는 2027년 말부터 차세대 1.4나노 반도체 양산에 착수할 예정이며, 가오슝 지역의 일부 공장 역시 같은 기술을 적용한 생산라인으로 계획 중이다. 중부 타이중에 위치한 25공장도 관련 부지 보상절차가 마무리됨에 따라 2028년 하반기부터 1.4나노 양산을 목표로 세웠다.
현재까지 삼성전자와 TSMC가 3나노 기술을 가장 앞선 공정으로 양산 중인 상황에서, 이번 2나노 수율 확보는 차세대 반도체 경쟁에서 TSMC가 한발 앞서 나가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수율이 일정 수준 이상 안정되면, 고성능과 저전력이라는 2나노의 장점은 전자기기 전반에 걸쳐 파급력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스마트폰, 인공지능(AI) 가속기, 고성능 서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TSMC의 기술 우위를 더욱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경쟁 업체인 삼성전자와의 기술 격차를 좁히거나 더 벌리는 주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