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네트워크(Pi Network)가 모바일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소 스왑폰(Swapfone)에 상장됐다. 스왑폰 측은 7월 22일 23시(한국시간)부터 파이코인(PI)과 USDS의 거래쌍을 지원한다고 밝히며, 이를 기념해 특별 에어드롭 이벤트도 함께 진행 중이다.
이번 상장은 파이코인의 생태계 확장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졌지만, 시장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파이코인의 가격은 현재 0.50달러(약 700원)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상장 발표 이후에도 큰 변동은 없는 상태다. 지난 7일간 파이코인의 상승률은 6%에 불과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XRP, 솔라나(SOL) 등 주요 알트코인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한 것과는 대비된다.
전문가들은 파이코인이 여전히 잠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반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커뮤니티 내부의 피로감과 기대와 현실의 괴리를 꼽는다. 특히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 같은 대형 거래소 상장이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고, 파이데이(Pi Day), 파이투데이(Pi2 Day)처럼 주목받았던 일정들이 이렇다 할 성과 없이 지나간 점이 실망감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올해 2월 메인넷을 공식 출시한 이후에도 파이코인은 사상 최저가 부근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장기 보유자들도 유동성 및 실사용 확대에 대한 회의감을 갖고 있는 모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신호는 여전히 낙관적이다. 미국 하원에서 CLARITY 법안과 CBDC 감시금지법(Anti-CBDC Surveillance Act) 등이 통과되며 대체자산 전반에 우호적인 규제 변화 흐름이 감지되고 있고, 세계적으로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도 호전되고 있다. 이런 “리스크 온(Risk-On)” 시장 흐름은 파이코인 같은 알트코인에 긍정적일 수 있다.
또한, 바이낸스가 과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PI 상장 투표에서 90%에 달하는 찬성 응답을 얻은 바 있어, 향후 대형 거래소 상장 가능성에도 여전히 기대감은 살아 있다.
결국 파이네트워크의 향후 성패는 얼마나 빠르게 커뮤니티의 신뢰를 회복하고, 명확한 유틸리티와 유의미한 거래소 상장으로 시장 참여자들에게 실질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파이코인의 1달러 돌파는 단순한 상징이 아닌, 프로젝트의 신뢰 회복 여부를 가늠할 중요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