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일본, 세계 첫 XRP ETF 승인 가능성…SBI·프랭클린템플턴 합작 추진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3

SBI홀딩스와 프랭클린템플턴이 비트코인과 XRP 기반 듀얼 ETF를 일본 금융청에 신청했다. 일본이 세계 최초로 XRP ETF를 승인할 경우 제도권 편입 가속화가 기대된다.

 일본, 세계 첫 XRP ETF 승인 가능성…SBI·프랭클린템플턴 합작 추진 / TokenPost.ai

일본, 세계 첫 XRP ETF 승인 가능성…SBI·프랭클린템플턴 합작 추진 / TokenPost.ai

일본이 세계 주요국 가운데 최초로 XRP 기반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할 가능성이 가시화하고 있다. 일본 금융 대기업 SBI홀딩스는 비트코인(BTC)과 함께 XRP를 포함한 암호화폐 ETF 승인을 금융청(FSA)에 신청했으며, 이 프로젝트에는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도 파트너로 참여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신청은 일본 최초로 XRP와 비트코인으로 구성된 듀얼 스팟 ETF를 상정한 것으로, SBI는 이와 함께 암호화폐와 금을 결합한 혼합 상품도 제안했다. 첫 번째 펀드는 비트코인과 XRP에 동시에 투자할 수 있는 단일 래퍼 구조이며, 두 번째는 암호화폐 편입 비중을 49%로 제한하고 나머지는 금으로 채워진다.

SBI의 이번 행보는 지난 7월 프랭클린템플턴과 공동 설립한 디지털자산 투자 운용사 출범 이후 이뤄진 것이며, 전통 금융의 기술력과 규제준수 역량을 암호화폐 시장에 접목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특히 프랭클린템플턴은 전 세계에서 300조 엔(약 2,877조 원)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ETF 부문에서만 100개 이상의 상품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상품화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다.

일본 FSA는 최근 디지털자산을 금융상품법상 금융자산으로 재분류하는 작업에 착수한 바 있으며, 암호화폐 ETF에 대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20% 단일 과세법안도 논의 중이다. 이는 현재 암호화폐 수익이 '기타소득'으로 분류돼 고세율 적용을 우려하던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SBI는 오랫동안 XRP 생태계에 깊이 관여해온 일본 내 대표적 기업 중 하나로, 리플사의 주요 외부 주주이자 아시아 전역으로 송금 서비스를 제공 중인 자회사 SBI리밋(SBI Remit)을 통해 XRP 기반 결제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XRP를 규제된 ETF에 편입할 경우, 일본 내 XRP의 제도권 편입 및 기관 투자 활성화가 한층 본격화될 전망이다.

다만,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ETF에 대한 수요는 최근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스팟 비트코인 ETF는 최근 일주일 동안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이상의 순유출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충분한 기관 수요가 일본 시장에서도 확보될 수 있을지 여부가 시장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XRP의 낮은 유동성과 네트워크 NAV 추적의 어려움 등도 단기 위험요소로 지적된다.

현재 FSA는 ETF 신청서 검토에 들어갔으며, 이와 함께 암호화폐 수탁 기준, 가격 데이터 신뢰도, 상품 레버리지 제한 등에 대한 규제 가이드라인 마련도 동시에 추진 중이다. 일본이 XRP ETF를 세계 최초로 승인할 경우, 이는 디지털 자산 시장 규제 정비와 제도권 진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legoboss

00:55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legoboss

2025.08.08 00:55:5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8.07 22:06:4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