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아이템버스·람다256, 수수료 없는 국내 NFT 표준 'K-NFT' 개발한다

작성자 이미지
성지민 기자
23
0

국내 게임사 100여 곳 연합 프로젝트 아이템버스가 블록체인 토큰의 한국형 표준 개발에 나선다.

아이템버스는 블록체인 기술회사 람다256과 대한민국 대체불가토큰(NFT) 표준 'K-NFT(가칭)'을 공동개발하기 위한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고 2월 9일 밝혔다.

NFT는 블록체인과 스마트컨트랙트 기술 기반의 게임 아이템, 저작권 등의 유형 자산 및 권리를 통합적으로 유통·관리할 수 있도록 토큰화한 디지털 자산이다.

아이템버스와 람다256는 메타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저작권 관리, NFT 분할 기능 등 시장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기존 NFT를 개선한 새로운 K-NFT를 개발한다.


토큰포스트 주요 기사를 뉴스레터를 통해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누구나 쉽게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스비(트랜잭션 수수료)를 없애고, 대규모 트래픽에도 대응 가능한 확장성을 갖추도록 설계할 계획이다.

양사는 K-NFT가 게임을 넘어 스마트 티켓, 각종 한정판 상품 시장, 국내 메타버스 제작 업체 등과 협력해 활용처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미 일본에서는 일본 게임 업체들이 함께 일본판 표준인 옥트 패스를 발표한 바 있다.

아이템버스는 람다256의 루니버스 BaaS(서비스형블록체인)에서 제공하는 브릿지 기능을 이용해 이더리움을 비롯한 멀티체인을 지원한다.

이더리움 바탕의 NFT 규격을 사용하는 업체들도 별도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아이템버스의 새로운 K-NFT 표준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2월 8일 한국모바일게임협회는 국내 게임사 100여 곳과 함께 연합 블록체인게임 프로젝트 아이템버스를 출범한 바 있다.

토큰포스트 |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비트코인(BTC), 기관 예상치 최대 70만 달러…금융 대안 부상

무브먼트랩스 공동 창립자 직무 정지…MOVE 토큰 유통량 불투명성 논란

블록체인, 통신망부터 신원 인증까지… 실물 산업 확장 가속

제타큐브, 초소형 디핀센터 ‘NANODC’로 글로벌 DePIN 시장 진출 박차…토큰포스트와 협력 확대

댓글

23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분당돈돈이

2021.02.14 05:01:06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강군

2021.02.12 06:27:2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김길임

2021.02.12 01:43:4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에드워드김

2021.02.11 15:29:42

정보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이나바

2021.02.11 11:21:02

수수료 진짜;;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내돈도

2021.02.11 11:01:2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1.02.11 09:16:40

활용도와 사업성이 같이되면 좋겠네요.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hun7

2021.02.11 07:59:44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인테리어하우스

2021.02.11 07:58:38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김길임

2021.02.11 02:38:0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