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AI는 지갑, 트레이딩 봇, 온체인 어시스턴트 등 다양한 영역에 통합돼 자동화된 업무 처리와 실시간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AI 에이전트의 핵심 기반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바로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이다. 아직 표준 프레임워크로 자리 잡지는 않았지만, MCP는 다양한 에이전트 시스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정의하는 도구라면, MCP는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한다.
실제로 MCP는 AI 에이전트가 어떤 도구를 사용할지, 어떤 코드를 실행할지, 사용자 입력에 어떻게 대응할지 등을 제어하는 통제 레이어로 작동한다. 유연한 구조 덕분에 에이전트의 기능을 확장하고 맞춤형 설정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악성 플러그인에 의한 보안 위협도 수반한다.
전문가들은 MCP를 통한 AI 운영이 데이터 오염, 명령어 조작, 악성 행동 실행 등으로 이어질 경우 심각한 보안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공격자는 MCP의 취약점을 파고들어 악의적인 명령을 삽입하거나 에이전트를 오인시켜 잘못된 판단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상자산 생태계는 이제 AI 에이전트의 혁신성과 동시에 수반되는 보안 과제에 대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