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과세 규제 강화 움직임 속에서, 일부 국가는 오히려 역방향 행보를 걷고 있다. 소득세와 양도소득세는 물론 법인세까지 면제되는 디지털 자산 낙원들이 있다면, 이들은 2025년에도 여전히 가장 주목받는 비과세 지역이 될 전망이다. 이들 국가들은 글로벌 암호화폐 투자자, 장기 보유자(HODLer), 탈중앙화금융(DeFi) 전문가들에게 새로운 피난처가 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케이맨 제도다. 이 지역은 암호화폐 거래 수익에 대한 세금이 전혀 없는 대표적인 조세 회피처다. 비트코인(BTC)을 단기 매매하든, 장기 보유 중이든, DeFi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든 관련 소득은 모두 세무 당국으로부터 자유롭다. 여기에 더해, 2025년 4월부터 전면 시행되는 ‘가상자산 사업자 규제법안(VASP Act)’은 라이선스 체계까지 도입해, 각종 서비스 업체가 합법적 틀 안에서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부동의 환율 안정성, 견고한 영어 기반 사법 체계, 고급 외국인 정주 인프라도 케이맨 제도의 매력을 더한다. 현지 통화인 케이맨 달러가 미국 달러에 고정 연동되어 있어 환율 리스크가 적고, 영국식 공통법 체계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법적 신뢰를 제공한다. 고소득 외국인을 위한 고급 생활 여건 역시 매력 포인트다.
암호화폐 수익에 대한 과세로부터 완벽히 자유롭고, 제도적 안전망까지 갖춘 케이맨 제도는 많은 투자자들에게 “2025년, 암호화폐가 비과세인 국가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가장 확실한 해답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