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김프 리포트] 펀딩비 차익거래 기회 급증…PIPPIN, 연 43.8% 수익률로 최고 기록

프로필
강이안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7월 23일 기준, PIPPIN 토큰이 펀딩비 차익거래에서 가장 높은 수익성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Gate.io를 비롯한 주요 거래소에서 연간 최대 43.8% 수익률이 예측되며, 전략 실행 부담도 낮은 편이다.

 무기한 스왑의 펀딩비율 순위 / 데이터맥시플러스

무기한 스왑의 펀딩비율 순위 / 데이터맥시플러스

무기한 선물은 투자 심리에 따라 현물과 가격 차이가 생긴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차를 조정한다.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이 숏에게, 낮으면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해 현물과 선물 가격 균형을 맞춘다. 이 구조를 활용,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한 상태에서 펀딩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이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높은 펀딩비로 수익 기회를 나타내는 상위 종목들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7월 23일 16시 37분 기준,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현 시점 가장 수익성이 높은 펀딩비 차익거래 기회는 PIPPIN 토큰에서 나타나고 있다.

가장 수익성이 높은 전략은 Gate.io에서 마진 숏 포지션을, 동시에 Gate.io에서 선물 롱 포지션을 보유하는 방식이다. 해당 조합은 -0.0200의 펀딩비가 적용되며, 연환산 수익률은 43.8%, 연간 예상 수익은 약 21만 8,761달러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높은 수익 가능성은 Binance에서 선물 롱, Gate.io에서 현물 숏 조합 전략이다. 펀딩비 -0.0151을 기반으로 연간 약 16만 5,452달러의 수익이 기대되며, 연환산 수익률은 33.13%를 기록 중이다.

세 번째는 MEXC 선물 롱과 Gate.io 현물 숏 조합이다. 이 또한 -0.0151의 펀딩비가 적용되며, 연간 16만 5,444달러가량의 수익이 예측된다.

네 번째 전략은 Bybit에서 선물 롱 포지션을, Gate.io에서 현물 숏 포지션을 보유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펀딩비 -0.0143 적용 시 연간 약 15만 6,028달러의 수익과 31.24%의 연환산 수익률을 기록한다.

다섯 번째 전략은 Bitget 선물 롱과 Gate.io 현물 숏 조합이다. 펀딩비는 -0.0125이며, 연간 약 13만 7,046달러의 수익과 27.44%의 APR이 기대된다.

이들 전략은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취하고, 현물 또는 마진 시장에서 숏 포지션을 구성해 펀딩비 음수 구간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특히 최근 PIPPIN처럼 펀딩비가 일정 수준 이상 음수로 유지되는 종목은 낮은 진입 장벽과 함께 단기 수익 실현 가능성이 높다.

6위로는 HTX의 PIPPIN 전략이 이름을 올렸으며, 연환산 수익률 20.96%와 연간 수익 10만 4,655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Ravencoin(RVN)은 Gate.io 중심의 조합에서 6.23% APR과 약 3만 1,090달러의 수익성을 나타냈다.

이 시각 펀딩비 최고·최저 종목

현재 펀딩비가 가장 높은 종목은 Bitget의 Vanar Chain(VANRY)이며, 0.002179의 펀딩비율로 연환산 약 4.77%를 기록 중이다. 다음으로는 Bitget의 Cudis(CUDIS)(0.001722), Bybit의 DuckChain Token(DUCK)(0.00041831), Gate.io의 Zeus Network(ZEUS)(0.001574), MEXC의 DUCK(0.000379) 순이다.

반면 최저 펀딩비를 보인 종목은 Bitget의 Cudis(CUDIS)로 -0.033012까지 하락해 숏 포지션 우위를 보였다. Bybit와 MEXC의 DUCK는 각각 -0.005847, -0.005925 수준의 음수 펀딩비를 기록했으며, Gate.io의 ZEUS도 -0.000139로 미세한 음수 상태다.

펀딩비가 음수일 경우, 선물 롱 보유자는 지속적으로 이자를 수령하는 구조로 설정돼 크립토 차익거래 수익 창출이 가능한 점도 전략 수립의 핵심 포인트다. 단, 펀딩비율은 지속적으로 변동되므로 리스크 관리 또한 병행이 필요하다.

하위 펀딩 비율

최고·최저 펀딩비 / 데이터맥시플러스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높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으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는 현물 매수와 선물 숏(공매도) 전략을 구사해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활용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와 자금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흰토끼를따라가라

19:07

등급

바다거북이

17:23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바다거북이

2025.07.23 17:23:5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