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 재개 제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양국 간의 고조됐던 관세 전쟁에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이는 2020년대 중반부터 이어진 무역 갈등 이후 처음으로 진지한 대화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최근 국영 CCTV를 통해 "중국은 미국 고위 당국자들이 대중 관세에 대해 협상 의사를 여러 차례 밝혀온 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미국 측의 협상 제안이 전달됐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이와 관련한 제안들에 대해 평가 중이며, 향후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중국 측의 입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부과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145% 관세 조치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125%에 달하는 수입세를 부과한 이후 양국 무역 마찰이 격화된 배경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이 관세 관련 협상을 원하고 있으며, 향후 대폭 인하 가능성도 열려 있다"며 미국 내 경제적 반발을 의식한 듯한 태도를 내비친 바 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은 그간 트럼프 측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공식적으로 부인해 왔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무역관세를 넘어서 양국 간 기술 경쟁과 자원 통제 문제에까지 얽힌 복합적인 갈등 속에서 나왔다. 최근 중국은 미국을 상대로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를 강화했으며, 미국은 이에 맞서 자국 내 인공지능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통제하면서 엔비디아(NVDA) 등 첨단 반도체 기업의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양국의 갈등 국면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나온 협상 가능성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중요한 시그널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대선이 가까워지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외 경제 압박을 완화할 여지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협상 움직임은 정치적 계산도 반영된 시도로 해석된다.
향후 미국과 중국이 실질적인 실무 협상에 들어설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이번 발표는 최소한 양국 간 대화의 창이 다시 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와 안보, 기술 패권을 둘러싼 복잡한 이해관계 속에서 어떤 실질적인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