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BNB, 사상 최고가 804달러 돌파…CZ “FOMO 시즌은 이제 시작”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바이낸스코인(BNB)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알트코인 시장 강세를 주도하고 있다. 창펑 자오 전 CEO는 'FOMO 시즌의 시작'을 언급하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BNB, 사상 최고가 804달러 돌파…CZ “FOMO 시즌은 이제 시작” / TokenPost.ai

BNB, 사상 최고가 804달러 돌파…CZ “FOMO 시즌은 이제 시작” / TokenPost.ai

바이낸스코인(BNB)이 사상 최고가인 804달러(약 1억 1,176만 원)를 돌파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전 바이낸스 CEO인 창펑 자오(CZ)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를 자축하며 “Build and Build”라는 메시지를 남겼고, 시장 전반에서도 그의 언급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특히 CZ는 최근 알트코인 강세가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며 본격적인 ‘FOMO(놓칠 수 없다는 공포) 시즌’을 예고했다.

현재 CZ가 보유한 BNB는 약 9,500만 개에 달하며, 이는 전체 유통량의 약 64%를 차지한다. 이날 기준 시가로 환산하면 그의 보유 자산은 약 1,055억 원(76억 달러)에 달한다. 이에 따라 그의 진짜 순자산 규모는 공식 집계보다 훨씬 클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블룸버그는 CZ의 순자산을 약 59억 7,000만 달러(약 8조 3,043억 원)로 추산했지만, 이는 암호화폐 보유분이 제외된 수치다. 게다가 CZ는 전직 CEO 신분에도 여전히 바이낸스를 포함한 주요 블록체인 생태계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어 그의 영향력은 여전하다.

알트코인 강세 신호도 뚜렷하다.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최근 100점 만점 중 54점을 기록하며 비트코인보다 높은 수익률을 올리는 알트코인들이 늘고 있음을 나타냈다. CZ는 이를 언급하며 “아직 시작일 뿐”이라며 추가 급등 가능성을 시사했다. 실제로 BNB는 이번 상승세에서 주도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알트코인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

커뮤니티 분위기도 뜨겁다. 한 사용자(@MrWhaleREAL)는 “BNB는 5,000달러까지 갈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고, 많은 투자자들이 CZ의 ‘지속적인 개발(Build)’ 철학에 신뢰를 보내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일회성 랠리가 아닌 구조적인 성장 기대감으로도 연결된다.

BNB는 거래 수수료 할인, BNB 체인 운영, Web3 및 디앱 인프라 지원 등 바이낸스 생태계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가격 외적인 내재 가치도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같은 유틸리티는 BNB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뒷받침하며 장기적인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다만 암호화폐 시장 특유의 변동성은 여전히 경계 대상이다. 현재 BNB 강세는 뚜렷하지만, 시장 전반의 조정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리스크를 인식한 채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상승이 단기적인 과열이 아니라 긴 호흡의 알트코인 주도장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BNB를 둘러싼 매수세와 투자 심리는 곧 다가올 고점 갱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0:35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7.24 00:35:5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7.23 20:39:3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