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美 디 미니미스 폐지 직격탄…쉬인·텐무 가격 4배 급등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1
1

트럼프 대통령의 디 미니미스 조항 폐지로 쉬인과 텐무 등 중국 직구 플랫폼 가격이 급등하고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美 디 미니미스 폐지 직격탄…쉬인·텐무 가격 4배 급등 / TokenPost Ai

최근 미국 소비자들에게 인기 있는 해외 직구 사이트들의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배경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단행한 관세 정책 강화 조치가 있다. 백악관은 지난 5월 2일부터 ‘디 미니미스(de minimis)’ 조항을 폐지하면서 중국에서 저가 상품을 직배송받을 수 있었던 통로를 차단했다. 이 조치는 중국 저가상품에 대한 관세 회피 수단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나왔다.

기존 디 미니미스 조항은 $800(약 115만 원) 이하의 소포에 한해 관세 없이 미국에 반입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이다. 텐무(TEMU), 쉬인(Shein)과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은 이 범위를 적극 활용해 저렴한 가격의 중국산 상품을 미국 소비자에게 유통해왔다. 하지만 새로운 행정명령 발효 이후 이런 모델은 큰 타격을 입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쉬인은 일부 제품에 대해 미국 내 가격을 4배 이상 인상했으며, 텐무는 중국 물류창고에서의 배송을 중단하고, 미국 내 재고 상품만을 판매하고 있다. 이처럼 가격 인상과 제품 다양성 감소가 이어지면서 소비자들은 실질적인 쇼핑 부담을 체감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중심 구조에 제동을 걸고 미국 내 생산과 고용을 유도하겠다는 입장이다. 백악관은 또 디 미니미스 조항이 마약 밀수, 특히 펜타닐 유입의 통로로 악용되고 있다는 점도 폐지 배경으로 들었다. 실제로 미 세관 및 국경보호국은 해당 조항을 통해 들어오는 일부 소포에서 불법 약물을 적발한 사례가 있다고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광범위한 관세 정책이 향후 미국 전체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대량 생산되는 장난감, 소형 가전, 의류 등 소비재는 가격 상승 압력이 커졌으며, 일부 품목은 수급 불균형의 여파로 품절 사태까지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흐름 속에서 이번 디 미니미스 조항 폐지는 상징적인 변화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회귀 전략이 뚜렷해진 가운데, 미국 소비자와 유통 시장은 새로운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사계절

11:17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5.03 11:17:2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