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표적 비트코인 지지자인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공화·와이오밍)이 비트코인 2025 컨퍼런스에서 “미국이 100만 BTC를 보유하고 20년간 유지한다면, 현재의 국가부채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며 전략 비트코인 비축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했다.
루미스 의원은 5월 27일 오후 ‘나카모토 스테이지’에서 열린 코인베이스(Coinbase) 법률총괄 폴 그리왈(Paul Grewal)과의 파이어사이드 토크에서 “미국은 기술, 금융 시장, 혁신에서 세계를 이끌어왔다. 비트코인도 예외가 아니다”라며, “정부가 이를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돕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략 비축 법안 추진…“1970년대 평가 금 자산을 비트코인으로 전환”
루미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도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구상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밝히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입법 추진 상황을 상세히 설명했다. 그녀는 “현재 미 정부 자산 중 저평가된 금 증서 등을 시가로 전환해 비트코인을 매입할 수 있는 방안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며, “새로운 채무를 추가하지 않고도 자산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는 400만 BTC 보유 시 국가부채 전액 상환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지만, 우리는 그 절반만 확보해도 충분히 변화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규제개혁 의지 강조…“SEC는 법적 불확실성만 키워”
토론에서 루미스 의원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SEC는 명확한 규제 가이드라인 없이 소송만 남발하고 있다”며, “이는 미국을 기술 혁신의 적으로 만들 뿐”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현재 미국 기업들은 ‘상대 없는 테니스’처럼 법적 확실성 없이 운영되고 있다”며, “이는 자유 국가가 기업가와 혁신가를 대하는 방식으로선 최악”이라고 지적했다.

스테이블코인·시장 구조·과세 개혁 순차 추진
루미스 의원은 현재 디지털 자산 관련 입법 우선순위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스테이블코인법(Genius Act): 이미 상원 은행위원회를 통과했으며, 초당적 협의를 통해 본회의 표결을 준비 중.
-
시장 구조법: 거래소 운영, 커스터디, 비트코인 활용 사례 등을 규정할 법안으로, “스테이블코인보다도 업계에 더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
-
세제 개편: 소액 거래에 대해 600달러 이하 비과세 조항(de minimis exemption) 도입 및 비트코인 채굴에 대한 이중 과세 철폐 추진.
“비트코인 마이닝은 에너지 혁신이자 국가 안보 전략”
루미스 의원은 비트코인 채굴의 에너지 효율성에도 주목했다. 그는 “텍사스 전력망처럼 채굴을 통해 야간 잉여 전력을 흡수하고, 낮에는 공급을 줄이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AI 확산과 함께 급증할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채굴 산업이 에너지 기술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비트코인은 단순한 경제 자산이 아니라, 중국과의 경제전쟁에서 미국이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디지털 방어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자유의 등불…정부가 막지 않도록 국민이 나서야”
루미스 의원은 마지막 발언에서 “우리는 항상 세계를 이끌어왔고, 지금도 그렇게 해야 한다”며, “혁신을 추구하는 사람들, 즉 이 방 안의 여러분이 정부보다 앞서 있고, 정부가 이를 따라잡게 만들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그는 “만약 라이트 형제가 지금 시대에 규제당국에 가로막혔다면 인류는 하늘을 날지 못했을 것”이라며, “비트코인은 경제적 자유, 기술의 자유, 개인의 자유를 상징하는 미래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대담은 루미스 의원의 입법 전략, 시장 구조 인식, 과세개혁 방안, 국가 전략 비축 구상 등을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자리로, 향후 미국 디지털 자산 정책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