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 멕시코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고율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무역 정책에 다시금 불확실성이 드리워졌다. 그는 현지시간 7월 12일 오전,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을 통해 두 지역에 대해 3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개하며, 해당 조치는 오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 대해 EU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본래 7월 14일부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시행할 예정이던 EU는, 일단 이를 다음달 초까지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인(Ursula von der Leyen)은 “협상의 여지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며, 미국과의 합의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해 긴장을 고조시키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대해 “양측의 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해로운 결정”이라고 비판하며, 이번 조치가 대서양 간 공급망 전체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EU 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대상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하루 전에는 캐나다에서 들여오는 수입품에도 3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동시다발적으로 20개가 넘는 국가들에 새로운 무역 제재를 예고했다. 미국 정부는 또 구리 수입에 대해서도 50%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이러한 일련의 발표는 시장에도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의 선물 가격이 일제히 하락했고, 특히 다우 지수 선물은 0.6% 떨어지며 긴장감을 반영했다.
이러한 가운데 EU는 캐나다, 일본 등 유사한 조치를 당할 위기에 놓인 국가들과 협력 확대를 검토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EU 관계자는 향후 미국의 무역정책 변화 대응을 공동으로 논의하기 위해 다자간 협상 채널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이번 관세정책이 단기적 조치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나 새로운 경제 블록 형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조치를 통해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 불균형 시정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지만, 이러한 고립주의적 접근 방식이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정이 대선 국면에서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정치적 전략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시장과 교역 상대국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할 구체적 협상 조건과 추가 조치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